市 “원인 규명에 한계”..환경단체 “도ㆍ정부 나서야”
폐기물업체와 레미콘 공장 등 공장 밀집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견달마을에 암환자 집중 발생과 관련, 시(市)가 원인 조사에 나섰다.그러나 시에서 할 수 있는 조치가 대기 오염조사, 대기오염물질 배출업소 전수조사, 주민 건강검진 등에 국한돼 암 집중 발생의 원인을 밝히는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시는 경기도 보건환경연구원과 함께 추석 전후 4차례에 걸쳐 일산동구 식사동 견달마을 주변 대기오염 조사를 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또 견달마을 주변에 있는 100여곳 공장을 대상으로 대기오염 물질 처리가 적정하게 이뤄졌는지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는 견달마을 암 집중 발생과 주변 공장에서 배출하는 대기오염 물질과 인과관계를 밝히기 위한 것이다.
시는 9월초 견달마을 27가구 30세 이상 주민 63명을 대상으로 건강검진을 해 건강상태를 확인할 계획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부서별로 암 발생의 원인을 확인할 수 있는 조치를 할 계획이다. 그러나 실제 암 발생률이 높은지조차 확인할 수 없는 상황이다”라며 “일단 대기오염 조사 등을 통해 나온 결과물을 검토한 뒤 후속 조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환경단체는 도나 중앙정부가 직접 원인 규명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고양환경운동연합 박평수 집행위원장은 “견달마을 암 집중 발생과 관련해 각종 추측이 난무하면서 주민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도나 정부가 나서 광범위한 역학조사를 한다면 주민들의 불안감이 어느 정도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양환경운동연합은 이와 관련 곧 성명서를 내고 환경부, 보건복지가족부, 경기도에 조속한 대책 마련을 촉구하기로 했다.
한편 견달마을 주민들은 2003년부터 최근까지 전체 27가구의 3분의 1인 9가구서 폐암 등 기관지와 관련된 암 환자가 발생했다며 시에 조사를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