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노태원(54)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백기엽(60) 충북대 원예과학과 교수, 박승정(57) 울산의대 교수가 각각 선정됐다.
이미지 확대
왼쪽부터 노태원, 백기엽, 박승정 교수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왼쪽부터 노태원, 백기엽, 박승정 교수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는 ‘2011년도 대한민국 최고 과학기술인상’ 수상자로 이들을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2003년 제정된 대한민국 최고과학기술인상은 세계적 연구개발 업적이나 기술혁신으로 국가 발전과 국민 복지에 기여한 과학기술인에게 주어지는 상이다
노 교수는 금석과 산소가 결합한 화합물인 금속산화물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리현상의 기본 원리를 밝혀냈다. 특히 F램·R램·스핀트로닉스 등 금속산화물을 기반으로 한 차세대 메모리 반도체 소자의 원리와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백 교수는 세계 최초로 10t 규모의 생물반응기(bioreactor)를 만들고, 학문적 체계를 확립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생물반응기를 이용하면 희귀성 자생식물이나 약용식물을 어렵게 채취하지 않고도 대량 생산할 수 있다. 박 교수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의 치료법인 중재시술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자로, 2008년에는 심장혈관 중에서 이상이 생기면 협심증이 생기는 ‘좌주간부’(Left Main) 부위에 대한 스텐트 삽입술이 외과적 수술 못지않게 안전하고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세계 최초로 입증해 주목받았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2011-07-01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