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국 중 2개국 자력 회복… 유럽 경제위기 극복 가시화
유럽 경제 위기의 진원지였던 스페인과 아일랜드가 은행 구제금융 ‘조기 졸업’ 계획을 발표했다. 유럽의 경제 회복이 가시화되고 있다.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무장관들은 14일(현지시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발표한 성명에서 스페인이 내년 1월 국제 채권단 구제금융 관리 체제에서 졸업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엔다 케니 아일랜드 총리도 긴급 각료회의를 열고 다음 달 15일 국제통화기금(IMF)과 유럽연합(EU) 구제금융 관리 체제 졸업 방침을 확정했다.
이로써 금융 위기 이후 구제금융을 받은 유로존 내 5개국(스페인, 아일랜드, 포르투갈, 키프로스, 그리스) 가운데 두 나라가 자력 경제를 회복하게 됐다. 두 나라의 구제금융 조기 졸업 계획에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유럽통화 안정이라는 우리의 정책이 옳았고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준다”며 환영의 뜻을 밝혔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보도했다.
루이스 데 긴도스 스페인 재무장관은 “스페인의 구제금융 종료는 스페인과 유럽 경제 전체에 좋은 소식”이라고 강조했고, 케니 아일랜드 총리도 “적기에 내린 옳은 결정이었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 두 나라는 구제금융 졸업으로 발생할 수 있는 금융시장 충격에 대비한 예방적 보호 조치도 요청하지 않기로 했다. 금융권의 자생력 회복을 유도하기 위해서다. 자국 경제 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깔려 있다. 하지만 유로존 안팎의 현실을 고려하면 아일랜드와 스페인 정부의 판단이 어려움을 자초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고 WSJ는 전했다.
류지영 기자 superryu@seoul.co.kr
2013-11-16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