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은 올해 3분기 영업이익(연결 기준)이 3423억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5%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했다. 매출은 2조 10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2.9% 감소했다. 다만 순이익은 2395억원으로 3.4% 늘었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글로벌 공급망 쇼크, 주요 원자재 가격 인상 등 여러 악재로 경영환경 악화가 불가피했다”면서도 “럭셔리 화장품과 프리미엄 제품군 비중 확대로 수익성은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실제 영업이익은 2005년 1분기 이후 한 개 분기를 제외하고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6분기 증가했다. 또 3분기 누계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5% 증가한 6조 684억원, 영업이익은 8.7% 증가한 1조 486억원을 달성했다.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사상 최대 누계 실적을 경신한 것이다.
사업군별로는 뷰티와 데일리 뷰티를 합산한 전체 화장품 3분기 누계 매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7% 성장한 4조 2878억원, 영업이익은 14.4% 성장한 8414억원을 기록했다. 어려운 사업 환경에서도 럭셔리 브랜드 내 신제품 출시와 다양한 협업 활동이 소비자들의 브랜드 로열티를 높이는 데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에이치디비(생활용품) 사업의 3분기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1% 증가한 5400억원, 영업이익은 4.7% 감소한 636억원을 기록했다. 또 리프레시먼트(음료)사업의 3분기 매출은 지난해보다 6.1% 증가한 4437억원, 영업이익은 0.1% 증가한 632억원을 달성했다.
명희진 기자 mhj46@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