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정호 “허들 감독에게 고마움, 말로 다하기 어려워”

강정호 “허들 감독에게 고마움, 말로 다하기 어려워”

입력 2015-09-15 14:14
수정 2015-09-15 14:2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MLB닷컴과의 인터뷰

지난 8월 말 마이애미 말린스의 원정 클럽하우스에서 강정호(28·피츠버그 파이리츠)는 의자에 앉아 스마트폰 게임에 열중했다.

이미지 확대
강정호
강정호
이때 들어온 클린트 허들 감독은 기척을 내지 않고 옆자리에 앉았다. 허들 감독은 강정호의 어깨에 팔을 두르고 5분 정도 가벼운 대화를 나눴다.

메이저리그(MLB) 공식홈페이지인 MLB닷컴이 묘사한 풍경이다. MLB닷컴은 15일(한국시간) “강정호는 피츠버그와 완벽한 궁합을 증명하고 있다’는 제목의 기사에서 메이저리그에 빠르게 적응한 강정호와 또 그 적응을 빠르게 만든 피츠버그를 함께 조명했다.

허들 감독은 “남에게 대접받고 싶으면 너도 남을 대접하라고 하지 않느냐. 우리는 단지 그 ‘황금률’에 따랐다”며 “내가 이 선수(강정호)였다면 나는 어떻게 대접받길 바랐을까 생각했다”고 말했다.

MLB닷컴은 강정호가 지난 2월 중순 미국 플로리다주 브래든턴에서 열린 피츠버그의 스프링캠프에 도착했을 때 그는 신비에 싸인 선수였다고 돌아봤다. 겉으로 보기에는 화려한 KBO리그 통계가 있지만 두 가지 의문이 남았다고 했다. 하나는 ‘그가 칠 수 있을까’와 다른 하나는 ‘그가 적응할까’였다.

강정호 역시 “나 또한 다가올 이번 시즌에 대한 호기심이 있었다. 메이저리그에서의 첫 시즌이었다. 신비감? 나 또한 가지고 있었다”고 인정했다.

지금까지 강정호는 MLB닷컴이 언급했던 한 가지 의문은 완벽하게 해소했다. 강정호는 그냥 잘 치는 정도가 아니라 그 이상이다. MLB닷컴은 “강정호는 내셔널리그 신인왕 경쟁자 중 한 명이고, 메이저리그 문화에 빠르게 녹아들면서 이제는 피츠버그에서 가장 가치 있는 선수 중 한 명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고 호평했다.

강정호는 또 하나의 의문도 빠르게 지워냈다. 물론 피츠버그 구단의 도움도 컸다. 메이저리그는 잘 알려진 대로 시즌이 길고 이동시간 역시 KBO리그보다 훨씬 길다. 언론의 취재 요청도 KBO리그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MLB닷컴은 “피츠버그 구단은 강정호가 메이저리그 안과 밖의 생활에 대해 배울 수 있도록 배려했고, 메이저리그 생활이 편안해지고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왔다”고 했다.

강정호의 재능과 부상자가 속출한 팀의 사정이 맞물려 강정호의 출전 시간은 점점 늘어났다. 강정호는 후반기에만 타율 0.316에 OPS(출루율+장타율) 0.939를 기록 중이다.

이에 대한 강정호의 답변은 한결같다. 그는 “야구는 어디에서 하든지 간에 상관없이 다 똑같다”고 했다.

피츠버그 구단은 강정호의 에이전트인 앨런 네로와 긴밀하게 협력해 강정호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내려 애쓰고 있다. 강정호의 가족은 정규 시즌이 시작되고 두 차례 미국에 왔다.

강정호는 친구들과 한국 음식이 그립고, 의사소통이 가장 힘든 부분이라고 인정했지만 이와 관련해서 통역 김휘경 씨가 큰 도움을 주고 있다. 강정호는 김씨를 선택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MLB닷컴은 전했다.

김씨는 강정호가 미국 미디어와 인터뷰를 할 때를 비롯해 팀 동료 및 코치진과의 대화 등 매 순간 강정호의 옆에서 대화의 다리가 되어주는 것은 물론 문화적인 차이에 적응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팀 동료인 숀 로드리게스는 “강정호의 성격은 다른 선수들과 비슷하다. 그는 편안해 보이고 농담하는 것을 좋아한다. 재미있는 순간을 즐기지만 때와 장소를 가릴 줄 안다”고 말했다.

강정호는 허들 감독에 대해 “사실 그가 얼마나 나를 지지해줬는지를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다”며 “우리는 대화를 많이 한다”고 했다. 강정호가 영어를 배우려 노력하는 사이 허들 감독은 몇 개의 한국어 표현을 익히려고 애쓴다.

강정호는 팀 동료에 대해서도 “모두 대단하고, 행복하고, 열정적인 사람들”이라며 “그래서 자연스럽게 그 분위기에 녹아들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