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레이싱 관전포인트
텔레비전 중계로 자동차 레이스의 즐거움을 100% 느끼기는 어렵다. 우렁찬 배기음, 눈앞을 쏜살같이 지나가는 자동차, 타이어 타는 냄새는 서킷에 가야만 체험할 수 있다.그러나 서킷은 접근성이 떨어진다. 전남 영암의 코리아인터내셔널서킷은 서울 광화문에서 자가용으로 약 5시간, 강원 인제스피디움은 약 4시간이 걸린다. 차가 막히면 시간이 더 소요된다.
김재호 대한자동차경주협회(KARA) 사무국장은 “캠핑 문화와 연계돼 레이스 산업이 발전하고 있다. 1박 2일 일정으로 온 가족이 경기도 보고 캠핑도 하는 식”이라고 설명했다. 대한자동차경주협회는 한국의 캠핑 열풍이 레이스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를 바라고 있다.
여러 제약에도 불구하고 일단 한번 레이스의 매력에 빠져들면 헤어나기 어렵다. 레이스에 대한 관심은 도전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대한자동차경주협회는 “2010년 210명에 불과했던 모터스포츠 동호인 수가 2014년 1300여명에 이를 정도로 급증했다”고 분석했다. 지난해 레이스에 입문해 올 시즌부터 아마추어 대회 엑스타 슈퍼챌린지에 참가한 이헌재(31·회사원)씨는 “평소 스피드에 대한 갈증이 있었지만 도로에서는 풀 수 없었다”면서 “서킷에서는 내가 달리고 싶은 대로 달릴 수 있다는 게 최고의 매력”이라고 설명했다.
강신 기자 xin@seoul.co.kr
2015-05-02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