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시즌 앞둔 인천 FC 새내기 유준수·박태수

첫 시즌 앞둔 인천 FC 새내기 유준수·박태수

입력 2011-02-07 00:00
수정 2011-02-07 00:3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두렵다… 실수는 끝이다 열망으로 기회 잡겠다”

뭐든 처음은 설렌다.

올 시즌 프로축구 K-리그 개막을 누구보다 기다리는 인천 유나이티드FC의 두 신인 유준수(23)와 박태수(22)가 그렇다. 지난달 30일 괌 전지훈련장에서 둘을 만났다.

이미지 확대
프로축구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FC의 주장 전재호(가운데)가 지난달 30일 괌 전지훈련장 회의실에서 신인 박태수(왼쪽), 유준수를 양쪽에 두고 “든든하다.”며 웃음짓고 있다.
프로축구 K-리그 인천 유나이티드FC의 주장 전재호(가운데)가 지난달 30일 괌 전지훈련장 회의실에서 신인 박태수(왼쪽), 유준수를 양쪽에 두고 “든든하다.”며 웃음짓고 있다.


●신인드래프트 1·2순위 ‘즉시전력감’

2009년 전국대학축구대회에서 고려대를 우승으로 이끌었던 공격수 유준수는 지난해 11월 열린 K-리그 신인 드래프트 1순위로 인천의 푸른 유니폼을 입었다. 수비수 박태수도 올림픽 대표에 뽑힐 정도의 기량을 갖춰 홍익대 재학 중에도 2순위로 고향팀인 인천에 둥지를 틀게 됐다. 인천이 뽑은 12명의 신인 가운데 이 둘은 ‘즉시전력감’임에 틀림없어 보였다. 하지만 이 두 새내기는 “두렵다.”고 입을 모았다.

●박 “잘돼서 어머니 칼국수집 광고도”

유준수는 “10골-10어시스트가 목표라고 생각했었다.”면서 “그런데 단 한 경기라도 나가서 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박태수도 “처음 인천에 오게 됐을 땐 ‘내가 잘하면 어머니의 칼국수집 광고도 될 것’이라며 자랑했는데, 현실은 그게 아닌 것 같다.”면서 “선발은커녕 교체 명단에라도 이름을 올릴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했다.

둘이 지난 2개월 동안 훈련하면서 느낀 대학과 프로의 수준차는 말 그대로 ‘하늘과 땅’ 차이였다. 훈련에 임하는 선배들의 눈빛부터가 달랐다. 작은 움직임, 단 한번의 패스도 대충 하는 법이 없었다. 축구를 시작하고 나서 나름대서 최고의 길을 걸어왔던 둘은 위축될 수밖에 없었다.

두 유망주는 끝을 알 수 없는 두근거림과 두려움을 훈련으로 이겨내고 있었다. 유준수는 “공격수는 공격포인트로 말한다. 훈련이든 연습경기든 골을 넣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했다. 박태수는 “‘실수는 끝’이라는 생각으로 감독님이 요구하는 플레이를 위해 집중하고 있다.”고 했다.

●유 “공격포인트로 실력 보이겠다”

유준수는 이날 열린 자체 연습경기에서 골을 기록했고, 박태수는 풀타임을 뛰며 전담 프리키커로도 활약했다.

인천의 주장 전재호는 “준수와 태수는 올 시즌 인천의 기둥이다. 자기관리도 훈련도 늘 진지한 자세로 열심히 한다.”면서 “이 둘로 인해 올 시즌 인천이 뭔가 해낼 것 같다.”고 기대감을 숨기지 않았다.

저녁식사 뒤 열린 ‘5분 스피치’에서 박태수는 ‘열망하고, 움켜잡고, 유영하라’는 주제로 감독과 선배들 앞에서 첫 시즌을 맞는 새내기의 심정을 털어놨다. 유준수는 열심히 고개를 끄덕이며 박태수의 이야기에 공감했다.

둘이 그토록 열망해 왔던 프로무대에서 기회를 움켜잡고 그라운드에 나서 유유히 즐기듯 자신의 실력을 보여줄 날이 기다려지는 대목이다.

글 사진 괌 장형우기자

zangzak@seoul.co.kr
2011-02-07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민생회복 소비쿠폰'에 대한 여러분의 생각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
경기 활성화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포퓰리즘 정책이라고 생각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