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거래사 15곳 수사 확대…정준양 前회장 등 고위층 조준
검찰의 전방위 부정부패 척결 수사가 ‘본류’에 진입하고 있다.
성완종 “특혜 없었다”
성완종 경남기업 회장이 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경남기업이 해외 자원개발에 특혜를 봤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다”며 자신의 결백을 눈물로 호소하고 있다.
검찰은 코스틸이 포스코로부터 슬래브 등을 매입하면서 가격을 부풀리거나 거래량을 조작해 회사 돈을 빼돌리는 과정에 이 회사 박모(59) 회장이 관여한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 자금이 포스코나 정·관계로 흘러들었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 포스코와 슬래브를 거래하는 업체는 코스틸을 포함해 15곳으로 검찰은 거래 과정이 정상적이었는지 모두 확인할 방침이다.
해외 자원 개발 비리 수사도 경남기업에서 공기업 수사로 급선회하고 있다. 성완종(64) 경남기업 회장에 대해 사전구속영장을 청구했지만 이는 ‘곁가지’였을 뿐 진짜 수사는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석유공사라는 게 검찰 안팎의 분석이다. 검찰은 이들이 해외 자원 개발 사업을 진행하면서 경남기업에 특혜를 준 단서를 잡고, 당시 최고 책임자로 수사망을 좁혀 가고 있다. 이르면 다음주 김신종(65) 전 광물자원공사 사장에 대한 조사가 진행될 전망이다. 성 회장은 영장실질심사를 하루 앞둔 이날 기자회견을 자청해 결백을 주장하기도 했다. 성 회장은 특히 “나는 MB(이명박 전 대통령)맨이 아니라 MB 정부의 피해자”라며 “대선 과정에서 박근혜 후보를 위해 혼신을 다했다”고 주장했다.
박범훈(67) 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의 직권남용 혐의 수사도 중앙대 재단을 정조준하고 있다. 검찰은 중앙대에 특혜가 제공된 과정은 물론 중앙대 재단과 박 전 수석 간 뒷거래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이와 관련해 검찰은 이날 교육부 고위 간부 출신인 오모(52) 울산교육청 부교육감을 소환, 조사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
2015-04-09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