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 치대 김백일 교수팀 새 치주질환 측정법 효과
치아와 잇몸 사이에 염증 주머니(치주낭)가 생기는 치주질환을 바늘이 아닌 타액으로 측정하는 새로운 검사법을 국내연구팀이 개발했다. 지금까지는 가느다란 바늘로 염증 주머니 깊이를 측정했지만 통증이 있고 2차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환자들에게 무취·무향의 파라핀 왁스를 씹게 해 타액을 채취한 후 헤모글로빈 농도를 측정했다. 또 스케일링 경험, 흡연·음주 등 치주질환과 연관 깊은 10개 항목의 자가 설문지검사를 시행했다.
그 결과 치주낭 깊이 4㎜ 이상~6㎜ 미만의 경미한 치주질환 환자와 치주낭 깊이 6㎜ 이상의 심각한 치주질환 환자에게서 측정값(AUROCs)이 각각 0.78과 0.76으로 나타났다. AUROCs값은 측정방법의 통계학적 유용성을 보여주는 수치로 1에 가까울수록 민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백일 교수는 “치주질환은 한 해 1200여만명이 진료를 받을 만큼 대표적인 구강질환으로 심혈관 질환 및 각종 전신 질환 발생과 연관을 가진다”며 “새로운 측정방법을 응용한다면 간단하게 치주질환을 예측하고 진단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대한치주과학회 영문학술지(JPIS) 최근호에 게재됐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