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 잠복기는 2주? (X)
정부가 설정한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최대잠복기 2주’라는 기준이 적절한지 의문이 커지고 있다. 15일 현재 메르스 확진자 150명 가운데 2명이 최대잠복기를 넘겨 확진 판정을 받았기 때문이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서울 보라매병원 응급실 소독
메르스 확진자인 삼성서울병원 이송 요원이 열흘 전 다녀간 것으로 확인돼 잠정 폐쇄된 서울 동작구 보라매병원 응급실에서 15일 직원들이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대책본부 설명대로라면 146번째 환자와 149번째 환자는 바이러스에 노출된 지 2주가 지나 확진 판정을 받았다는 뜻이 된다. 이는 격리해제 등 지금까지 모든 메르스 방역대책의 기준이 된 ‘메르스 최장 잠복기 14일’이라는 공식을 깨뜨린 것이다. 지금까지 국내 발병 사례 중 잠복기가 가장 길다. 이날 대책본부 브리핑에서도 최대잠복기를 둘러싼 질문이 여러 차례 나왔다. 이에 대해 정은경 질병관리본부 질병예방센터장은 “발병일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잠복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좀 더 확인을 해야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고 해명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연구팀은 지난해 12월 세계적인 감염병 전문저널인 ‘임상 감염병리학’(CID)에 메르스 최대 잠복기가 길게는 6주(42일)나 된다는 사례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어떤 이들은 외부 활동을 막을 만한 특별한 증상이 없는 잠복기 동안에도 바이러스를 퍼뜨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와 관련,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최근 “메르스의 잠복기 2주는 실험으로 확인된 게 아니고, 중동지역 환자들의 임상 양상을 기반으로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가이드라인을 정한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는 “최대잠복기가 최대 2주라는 것은 메르스 발원지인 중동 현지에서조차 논란이 있다”고 강조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5-06-16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