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2883명·성대 2223명 순… 외고 출신 서울대생 85%가 수도권 편중
최근 5년 동안 외국어고 졸업생들이 가장 많이 진학한 대학은 연세대로 나타났다. 졸업생의 8.57%인 3068명이 연세대에 갔다. 이어 고려대(2883명), 성균관대(2223명) 순으로 외고생이 많이 입학했다. 서울·경기 지역 외고만 따져봐도 연세대 진학자가 가장 많았고 고려대와 이화여대 순으로 뒤를 이었다.
유 의원은 “5년간 외고 졸업생 중 지방 소재 대학에 진학한 학생은 13.6%인 4880명에 불과했고 60.5%인 2만 1493명이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에 진학했다”고 말했다. 해외대학에 유학한 외고 졸업생이 4.4%이고 진학하지 않거나 통계에 잡히지 않은 졸업생은 21.5%였다.
유 의원은 “같은 외고라도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교육격차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났다”면서 “외고 출신 서울대생 중 85%가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소재 외고 졸업생이었다”고 밝혔다. 수도권 소재 외고 졸업생 비중은 연세대생 중 85%, 고려대생 중 80%로 높게 나타났다.
이 같은 격차 때문에 이른바 명문 외고가 밀집해 있는 서울·경기 지역 12개 학교만 비교하면 졸업생 대학진학 현황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전체 29개 외고 졸업생 중 서울대 입학자 비율은 3.2%인데, 서울·경기 지역만 보면 서울대 진학 비율이 4.6%로1.4% 포인트 높아졌다. 연세대 입학자 비율은 전체 8.6%에서 서울·경기 12.0%로 3.4% 포인트 증가했고 고려대 입학자 비율은 전체 8.1%에서 서울·경기 10.6%로 2.5% 포인트 늘었다.
유 의원은 “전국 통계와 서울·경기 통계에 격차가 큰 것을 볼 때 외고에서도 우리나라 교육의 고질병인 지역 격차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면서 “우리나라 교육 정책이 외고 육성정책에서 벗어나 서울 쏠림현상과 수도권과 비수도권 교육격차 문제를 해결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진학 현황 분석 결과 인문계인 외고 교육과정과 맞지 않는 이공계 대학인 KAIST 진학을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지역 외고가 주도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5년 동안 서울·경기 지역 외고에서 KAIST에 142명이 진학한 반면 나머지 지역에서는 4명이 이 대학에 입학했다. 또 다른 이공계 대학인 포스텍 진학자 역시 수도권에 8명이 있었고, 비수도권에는 한 명도 없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3-10-15 2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