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이 바뀌어도 유지될 것인가. 정부 주도로 입학사정관제가 각 대학에 도입됐다는 점은 이 제도가 확산되는 데 크게 기여한 요소이다. 한편으로 제도의 지속가능성에 의문을 품게 만드는 요인이기도 하다.
정부는 입학사정관제 실시 대학에 지원금을 준다. 지난해 정부 지원을 받은 대학은 47곳. 이렇게 되자 대학들은 이 제도에서 배제되는 것이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온다고 고백했다. 가뜩이나 대학 구조조정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오는데,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에서 배제될 경우 도태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충북대가 지방대학이 스스로 사정관 전형을 늘려야 할 논리를 개발했다. 사정관 전형을 잘 활용했을 때 학생수 감소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방대에 새로운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시각이다. 이 학교 장효주 사정관은 “심지어 사정관제를 활용해 우수하지 않은 학생을 뽑았을 때에도 전체적으로 학교의 명성은 좋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역설적인 상황이 어떻게 가능하다는 것일까.
장 사정관은 “대학 전체 정원보다 학생수가 줄어드는 추세를 막을 방법은 없다.”며 “대학끼리 학생선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시 모집이 정시 모집보다 치열해지는 분위기는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전제했다. 그렇지만 대학의 수준은 여전히 정시를 앞두고 사설학원 등이 배포하는 대입 배치표에 따라 정해지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결국 정시 성적에 따라 대학의 순위가 매겨지는데, 수시 인원을 다른 학교에 비해 줄인다면 정시 모집인원이 늘어나고 배치표에서 입학가능 최저점(커트라인)이 내려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수시 선발 인원은 늘어난다.
그렇다면 수시 전형에서 사정관 전형이 비교우위를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등을 배제한 채 선발하는 수시 전형에서는 심층적으로 학생을 보는 사정관 제도를 활용하는 게 전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장 사정관은 “사정관들은 종합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 학생들의 장점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성적순으로 뽑을 때보다 학생들에게 애정을 더 갖게 된다.”며 “사정관 제도를 통해 학생들을 뽑을 때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정부는 입학사정관제 실시 대학에 지원금을 준다. 지난해 정부 지원을 받은 대학은 47곳. 이렇게 되자 대학들은 이 제도에서 배제되는 것이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듯한 느낌으로 다가온다고 고백했다. 가뜩이나 대학 구조조정 얘기가 공공연하게 나오는데, 정부가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사업에서 배제될 경우 도태될 수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충북대가 지방대학이 스스로 사정관 전형을 늘려야 할 논리를 개발했다. 사정관 전형을 잘 활용했을 때 학생수 감소 등으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방대에 새로운 기회가 생길 수 있다는 시각이다. 이 학교 장효주 사정관은 “심지어 사정관제를 활용해 우수하지 않은 학생을 뽑았을 때에도 전체적으로 학교의 명성은 좋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런 역설적인 상황이 어떻게 가능하다는 것일까.
장 사정관은 “대학 전체 정원보다 학생수가 줄어드는 추세를 막을 방법은 없다.”며 “대학끼리 학생선발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수시 모집이 정시 모집보다 치열해지는 분위기는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 전제했다. 그렇지만 대학의 수준은 여전히 정시를 앞두고 사설학원 등이 배포하는 대입 배치표에 따라 정해지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결국 정시 성적에 따라 대학의 순위가 매겨지는데, 수시 인원을 다른 학교에 비해 줄인다면 정시 모집인원이 늘어나고 배치표에서 입학가능 최저점(커트라인)이 내려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수시 선발 인원은 늘어난다.
그렇다면 수시 전형에서 사정관 전형이 비교우위를 갖는 이유는 무엇일까.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등을 배제한 채 선발하는 수시 전형에서는 심층적으로 학생을 보는 사정관 제도를 활용하는 게 전적으로 유리하다는 것이다. 장 사정관은 “사정관들은 종합적인 판단을 하기 위해 학생들의 장점을 찾아내는 과정에서 성적순으로 뽑을 때보다 학생들에게 애정을 더 갖게 된다.”며 “사정관 제도를 통해 학생들을 뽑을 때 학생들의 학교에 대한 충성도가 높아지는 현상도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0-03-16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