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급차. 서울신문 DB
응급환자의 신고부터 적정 병원 이송까지 전 과정을 체계화한 ‘전북형 응급환자 이송체계’가 보다 촘촘해질 전망이다.
전북소방본부는 7일부터 ‘전북형 응급환자 이송체계’ 참여병원을 기존 24개소에서 32개소로 확대해 운영한다고 4일 밝혔다.
‘전북형 응급환자 이송체계’는 119구급대원이 현장에서 환자의 중증도(Pre-KTAS)와 주요 증상정보를 119스마트시스템에 입력하면, 다수의 참여 병원에 동시 전송되고 각 병원은 실시간으로 수용 가능 여부를 회신해 이송 병원을 신속히 결정하는 구조다. 유선전화 방식과 달리 시간 지연과 반복 전달의 비효율을 줄일 수 있어 골든타임 확보 측면에서 뛰어난 방식으로 평가받는다.
이 사업은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시범 운영을 거쳐 올해 1월부터 본격 시행됐다. 이후 뛰어난 운영 성과를 보였다. 시범운영 기간인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평균 병원 응답률은 53%였으며, 본격 운영에 들어선 올해 상반기(1월~6월)에는 64%를 기록했다. 특히 병원 이송 평균 소요 시간도 지난해 상반기(1월~6월) 19분 35초에서 올해 18분 55초로 40초가량 단축됐다.
전북소방본부는 자인플러스병원(전주시), 전주기독병원(전주시), 수사랑병원(익산시), 누가병원(군산시), 한국병원(정읍시), 믿음병원(김제시), 석정웰파크병원(고창군), 남원병원(남원시) 등 총 8개소를 추가했다.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으로, 진료역량과 지역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결과다. 전북소방본부는 이번 신규 참여병원에 대해 시스템 설치 및 교육을 완료하고, 각 소방서 구급대원에게도 병원 정보와 활용 지침을 배포했다.
이오숙 전북소방본부장은 “이번 참여병원 확대는 단순한 숫자 증가가 아니라, 응급의료 연계의 밀도와 범위를 높이는 중요한 진전”이라며 “응급환자의 골든타임을 지키기 위해 현장과 병원 간 연결고리를 더욱 촘촘하게 다듬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