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추위’ 피해 삼삼오오 모인 쪽방 주민들…“겉옷 껴입지 않아서 다행”

[현장]‘추위’ 피해 삼삼오오 모인 쪽방 주민들…“겉옷 껴입지 않아서 다행”

손지연 기자
손지연 기자
입력 2024-01-11 15:56
수정 2024-01-11 15:5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지난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밤추위대피소’에서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손지연 기자
지난 10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에 위치한 ‘밤추위대피소’에서 주민들이 휴식을 취하고 있다. 손지연 기자
지난 10일 오후 8시. 서울 영등포구 ‘밤추위대피소’에서 만난 김옥자(75)씨는 찜질복 위에 이불을 둘러쓰며 “집에서는 추워서 바깥에서 입었던 옷을 그대로 입고 이렇게 이불을 뒤집어쓰고 있다”고 했다.

지난 1일부터 운영되고 있는 이곳은 40평 정도의 작은 찜질방이다. 쪽방촌에서 800m 정도 떨어진 이곳에는 주민 10여명이 곳곳에 깔린 전기장판 위에서 얼어붙었던 몸을 녹이고 있었다. 김형옥 영등포 쪽방상담소 소장은 “밤이 늦으면 좀 더 많은 주민이 찾는다. 하루 25~30명의 주민이 이곳을 이용한다”고 전했다.

이날 오후 7시쯤 대피소가 문을 열자마자 찾아온 김유순(73)씨는 2평 남짓한 쪽방에 산다. 김씨가 사는 곳은 외풍이 심해 난방을 해도 추위를 온전히 피할 수 없다. 또 다른 쪽방촌 주민 김영미(52)씨는 “목욕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없다 보니 이곳을 자주 찾게 된다”고 말했다.

가뜩이나 열악한 주거 환경에 처한 쪽방촌 주민들에게 난방비가 역대 최대폭으로 오른 올해는 유독 가혹했다. 전기와 가스요금은 2022년과 비교해 20% 상승했고, 지역 난방비도 27.3% 올랐다. 예년보다 따뜻한 겨울이라고는 하지만, 이들의 몸에서 한기가 가신 날은 손에 꼽을 정도였다.

쪽방 주민들을 위한 대피소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여름 이곳은 ‘밤더위 대피소’이기도 했다. 서울시뿐 아니라 대구시도 2019년 찜질방을 폭염 대피소로 활용하는 시범 사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폭염과 집중 휴가철을 앞두고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자 서울시의회가 물가 점검과 대책마련을 위한 현장 점검에 나섰다. 29일 오전,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은 폭염·폭우로 농산물 가격이 폭등하는 등 민생 물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농축산물 수급과 물가안정 대책 점검을 위해 긴급히 가락시장을 방문했다. 이날 현장 방문에는 임춘대 기획경제위원장, 김지향 시민권익위원장, 문영표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이하 ‘공사’) 사장 등과 함께, 가락시장 내 과일 및 채소, 수산물과 채소 점포들을 둘러보며 농축산물 물가 상황을 점검했다. 현장에서 수박(10kg) 3만 7564원, 복숭아(경봉 10kg) 5만 2126원으로 거래돼 전년(2만 5001원, 3만 2016원)대비 각각 50%, 63% 이상 가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고, 청양고추는 평년(3만 8226원)대비 가격이 두 배 이상 증가해 7만 9613원(108%) 기록했다. 특히 최 의장과 위원장들은 공사 사장으로부터 주요 농축산물 수급 현황과 가격 동향은 물론, 이에 대한 공사의 대책 보고를 받았는데, 공사는 소고기, 돼지고기의 공급량은 안정적이나 휴가철 소비 증가와 민생회복 쿠폰 사용 등으로 전년대비 해당 품목의
thumbnail -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폭염에 따른 농산물 물가 현장 긴급 점검 수급 대책 등 주문

서울시는 이곳을 포함해 창신동쪽방촌 1곳, 남대문쪽방촌 2곳 등 모두 4곳의 찜질방과 목욕탕을 밤추위대피소로 지정해 다음달 말까지 운영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