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도 엄마도 웃음 짓게… 흐뭇한 성동의 ‘행복 실천’

아이도 엄마도 웃음 짓게… 흐뭇한 성동의 ‘행복 실천’

장진복 기자
장진복 기자
입력 2023-09-01 01:36
수정 2023-09-01 01:3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합계출산율 서울지역 공동 1위

이미지 확대
정원오(오른쪽) 서울 성동구청장이 성동구가 운영하는 물놀이장을 찾은 아이와 인사하고 있다. 성동구 제공
정원오(오른쪽) 서울 성동구청장이 성동구가 운영하는 물놀이장을 찾은 아이와 인사하고 있다.
성동구 제공
서울 성동구의 지난해 합계출산율은 0.72명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 가운데 공동 1위다. 구가 다양한 출산·양육 정책을 발굴하고 시행한 결과 2017년부터 서울시 자치구 중 합계출산율 최상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31일 통계청 인구 동향조사에 따르면 성동구의 2022년 합계출산율(잠정)은 0.72명으로 서울시 평균 0.59명을 상회한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나타낸 지표다. 구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4년 연속 서울시 자치구 1위, 2021년 2위를 기록했다.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를 의미하는 조출생률은 2021년 통계청 국가통계 기준 6.4명으로 성동구는 전국 평균 5.1명을 웃돈다.

구는 다양한 정책을 내놓으며 저출생 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다. 먼저 임산부 가사돌봄 서비스를 지난해 6회 지원에서 올해 7회로 확대했다. 이달부터는 출산가정 산후조리 비용을 최대 150만원(현금 50만원, 바우처 100만원)으로 확대 지원한다. 앞서 구는 지난 1월부터 출산 가구의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산후조리 비용 50만원을 지원했다.

구는 상반기부터 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사업, 엄마아빠택시 지원사업 등 서울 엄마아빠 행복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국공립어린이집 이용률은 8월 기준 70%로 서울시 자치구 1위를 차지했다. 구는 2014년부터 초등학교 등하굣길 워킹스쿨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교통안전지도사 94명이 지역 내 17개 초등학교 38개 노선에서 아이들의 등하교길을 책임진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임신부터 양육까지 단순히 한 가정에서의 책임이 아닌 촘촘하고 안전한 돌봄체계 구축을 통해 이뤄져야 한다”며 “앞으로도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성동을 만들기 위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2023-09-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