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택시운전사’ 獨언론인 실제 주인공 추모비 3일 광주 북구 광주시립묘지(5·18 옛 묘역)에 자리한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1937~2016)의 추모비 앞에 국화 화분이 외로이 놓여 있다. 1980년 5월 광주의 진실을 취재해 세계에 알린 힌츠페터와 그를 광주로 태워 간 무명의 택시 기사 이야기를 극화한 영화 ‘택시운전사’가 전날 개봉해 이틀 만에 누적 관객 100만명을 넘어서며 주목받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추모비는 지난해 5월 세워졌다. 광주에 묻히기를 바랐던 고인의 유언에 따라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가 당시 한국을 찾아 남편의 손톱과 머리카락 등을 묘역에 안치했다. 브람슈테트는 오는 8일 내한해 ‘택시운전사’를 관람할 예정이다. 광주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영화 ‘택시운전사’ 獨언론인 실제 주인공 추모비
3일 광주 북구 광주시립묘지(5·18 옛 묘역)에 자리한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1937~2016)의 추모비 앞에 국화 화분이 외로이 놓여 있다. 1980년 5월 광주의 진실을 취재해 세계에 알린 힌츠페터와 그를 광주로 태워 간 무명의 택시 기사 이야기를 극화한 영화 ‘택시운전사’가 전날 개봉해 이틀 만에 누적 관객 100만명을 넘어서며 주목받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추모비는 지난해 5월 세워졌다. 광주에 묻히기를 바랐던 고인의 유언에 따라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가 당시 한국을 찾아 남편의 손톱과 머리카락 등을 묘역에 안치했다. 브람슈테트는 오는 8일 내한해 ‘택시운전사’를 관람할 예정이다. 광주 연합뉴스
3일 광주 북구 광주시립묘지(5·18 옛 묘역)에 자리한 독일 언론인 위르겐 힌츠페터(1937~2016)의 추모비 앞에 국화 화분이 외로이 놓여 있다. 1980년 5월 광주의 진실을 취재해 세계에 알린 힌츠페터와 그를 광주로 태워 간 무명의 택시 기사 이야기를 극화한 영화 ‘택시운전사’가 전날 개봉해 이틀 만에 누적 관객 100만명을 넘어서며 주목받는 것과 대조를 이룬다. 추모비는 지난해 5월 세워졌다. 광주에 묻히기를 바랐던 고인의 유언에 따라 부인 에델트라우트 브람슈테트가 당시 한국을 찾아 남편의 손톱과 머리카락 등을 묘역에 안치했다. 브람슈테트는 오는 8일 내한해 ‘택시운전사’를 관람할 예정이다.
광주 연합뉴스
2017-08-04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