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보, 환풍기 안 켰어?

환경부는 지난해 5월부터 11월까지 실험·공동·단독·다세대 주택 등 32곳을 대상으로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하는 오염 물질을 측정한 결과 초미세먼지, 폼알데하이드, 이산화질소 등의 오염 물질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밀폐 공간에서 조리할 때의 초미세먼지 발생이 환기 상태와 비교해 최대 9.8배까지 높았다. 밀폐된 상태에서 고등어를 구울 때의 초미세먼지 발생량은 2290에 달했다. 삼겹살(1360), 계란 프라이(1130), 볶음밥(183) 등 대부분의 요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매우 나쁨’ 기준을 훨씬 넘어섰다. 다만, 고등어를 구울 때 환풍기(후드)를 가동하면 배출량이 234로 낮아졌다. 계란 프라이와 볶음밥은 환풍기 가동 시 배출량이 각각 64, 40까지 떨어졌다. 연구 결과 요리 후 높아진 초미세먼지 농도는 창문을 열어 환기를 했을 때 15분이 지나야 평상 수준으로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도로변에서 3m만 떨어져도 미세먼지 농도가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스, 트럭 등 대형 차량이 출발하는 순간에는 최대 47%까지 차이 났다.
한편 수도권대기환경청은 어린이들이 미세먼지 예보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서울 어린이대공원과 도성초, 경기 동두천 신천초, 인천 하늘초·석남초 등 5곳에 미세먼지 신호등을 설치하기로 했다. 신호등은 설치 지점에서 가까운 도시대기측정소의 미세먼지 측정 결과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초록색(80㎍/㎥ 이하), 노란색(81∼150㎍/㎥), 빨간색(151㎍/㎥ 이상)으로 보여준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2016-05-2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