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0만명’ 강남역 이용객 1위...홍대입구역은 5위로 껑충

‘하루 20만명’ 강남역 이용객 1위...홍대입구역은 5위로 껑충

입력 2016-03-06 10:28
수정 2016-03-06 10:3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지난해 지하철역별 승하차 이용객 통계

지하철 2호선 강남역이 19년째 이용 승객수 1위를 차지했다. 강남역은 하루 평균 이용객이 20만여명에 달해 전체 지하철 역 중 가장 붐볐다.

6일 서울시가 지하철 1∼9호선 교통카드 이용 데이터를 분석한 것에 따르면 지난해 지하철역별 승하차 이용객은 강남역이 7천465만명으로 가장 많았다. 하루 약 20만 4천508명 꼴이었다.

사무실과 유흥시설 등이 밀집한 강남역은 19년 연속 ‘이용객이 가장 많은 지하철역’ 기록을 이어갔다.

신분당선이 지나는 강남역은 승차 3천705만명, 하차 3천759만명으로 내리는 사람이 조금 더 많다.

강남역 이용객은 2011년 7천52만명에서 2014년 7천662만명으로 매년 꾸준히 늘다가 지난해는 메르스 여파로 다소 감소했다.

2위는 3, 7, 9호선이 지나는 고속터미널역이다. 하루 약 18만 9천632명, 모두 6천922만명이 이용했다.

고속터미널역은 2011년과 2012년에는 이용객이 5천461만명, 5천703만명으로 3위였으나 2013년 6천201만명으로 증가하며 2위로 올라섰다.

3위는 2호선과 8호선이 연결되는 잠실역으로, 하루 16만 9천62명, 모두 6천171만명이 타고 내렸다.

잠실역은 2011년과 2012년에는 5천749만명, 5천804만명으로 2위였다. 2013년 5천885만명으로 늘어났는데도 3위로 밀렸고 이후 같은 순위를 유지했다.

4위는 하루 이용객 15만 4천549명인 사당역이다. 2호선과 4호선이 교차하는 사당역의 1년간 총 이용객은 5천641만명이다.

사당역은 2011년 이래 5위였다가 작년에 4위로 올라섰다.

4·7호선이 지나는 총신대입구(이수)역과 연계해 사당역 이용객도 늘어난 것으로 분석됐다.

‘뜨는 동네’ 홍대입구역은 지난해 5위로 새로 진입했다.

총 이용객은 5천511만명으로, 하루 15만 2천90명꼴이다.

다른 곳에서 홍대입구로 유입되는 인구가 더 많아서 승차객수 기준으로는 5위권 밖이지만 하차객수 기준으로는 4위를 기록했다.

1·4호선 서울역은 지난해 이용객이 전년보다 9% 감소해 순위도 4위에서 5위 밖으로 밀려났다.

경의중앙선 개통으로 이용객이 분산된 탓으로 분석됐다.

9호선 마곡나루역과 5호선 마곡역은 지난해 이용객이 전년보다 각각 125.7%와 47.2% 증가했다. 마곡지구 개발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5호선 애오개역은 아현뉴타운 입주 영향으로 전년보다 22% 늘었다. 9호선 신방화역도 22% 증가했고 6호선 녹사평(용산구청)역도 14.4% 많아졌다.

반면 2호선 강변역, 잠실나루역, 신천역은 각각 약 10%씩 감소했다.

<표> 지하철 역별 이용객 상위 1∼5위

┌────────┬────────┬────────┬────────┐

│년도 │순위 │역명 │합계(명) │

├────────┼────────┼────────┼────────┤

│2011년 │ 1│강남 │70,518,813 │

│ ├────────┼────────┼────────┤

│ │ 2│잠실 │57,492,243 │

│ ├────────┼────────┼────────┤

│ │ 3│고속터미널 │54,610,003 │

│ ├────────┼────────┼────────┤

│ │ 4│서울역 │53,735,614 │

│ ├────────┼────────┼────────┤

│ │ 5│사당 │52,697,131 │

├────────┼────────┼────────┼────────┤

│2012년 │ 1│강남 │71,310,800 │

│ ├────────┼────────┼────────┤

│ │ 2│잠실 │58,035,959 │

│ ├────────┼────────┼────────┤

│ │ 3│고속터미널 │57,026,247 │

│ ├────────┼────────┼────────┤

│ │ 4│서울역 │54,926,923 │

│ ├────────┼────────┼────────┤

│ │ 5│사당 │53,395,405 │

├────────┼────────┼────────┼────────┤

│2013년 │ 1│강남 │73,998,457 │

│ ├────────┼────────┼────────┤

│ │ 2│고속터미널 │62,013,135 │

│ ├────────┼────────┼────────┤

│ │ 3│잠실 │58,846,595 │

│ ├────────┼────────┼────────┤

│ │ 4│서울역 │56,106,497 │

│ ├────────┼────────┼────────┤

│ │ 5│사당 │54,314,456 │

├────────┼────────┼────────┼────────┤

│2014년 │ 1│강남 │76,623,376 │

│ ├────────┼────────┼────────┤

│ │ 2│고속터미널 │68,303,853 │

│ ├────────┼────────┼────────┤

│ │ 3│잠실 │63,344,607 │

│ ├────────┼────────┼────────┤

│ │ 4│서울역 │60,431,828 │

│ ├────────┼────────┼────────┤

│ │ 5│사당 │56,694,286 │

├────────┼────────┼────────┼────────┤

│2015년 │ 1│강남 │74,645,229 │

│ ├────────┼────────┼────────┤

│ │ 2│고속터미널 │69,215,732 │

│ ├────────┼────────┼────────┤

│ │ 3│잠실 │61,707,472 │

│ ├────────┼────────┼────────┤

│ │ 4│사당 │56,410,286 │

│ ├────────┼────────┼────────┤

│ │ 5│홍대입구 │55,512,954 │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서울시의회 김동욱 의원(국민의힘, 강남5)의 지속적인 관심과 예산 확보 노력에 힘입어, ‘개포택지’를 포함한 노후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지난 5월 ‘택지개발지구 단독주택지 도시관리방안 마련’ 용역을 착수했으며, 6월에는 착수보고회를 통해 과업 방향과 주요 과제를 공유했다. 이번 용역에는 개포택지를 포함한 총 10개 택지지역이 대상에 포함되며, 도시공간본부가 총 1억 원의 예산을 투입해 내년 2월까지 수행할 예정이다. 해당 용역은 지역별 기반시설 현황, 용도지역, 주택 노후도 등 실태를 조사하고 문제점을 분석해, 택지개발 당시 계획된 구조와 현재의 주거 수요 간 불일치를 해소할 수 있는 합리적 도시관리 기준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 의원은 “개포택지는 준공 이후 수십 년이 지난 단독주택지가 밀집해 있음에도, 도시계획적 관리는 사실상 사각지대에 놓여 있어 주민들이 주차, 도로, 주거환경 등의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며, “이번 용역을 계기로 개포택지의 여건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도시관리방안이 마련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올해 9월까지 기초조사와 분석을 완료하고, 내년 2월에 최종 용역 결과가 나올 예
thumbnail - 김동욱 서울시의원, 개포택지 등 관리방안 용역 착수…노후 주거지 도시관리 첫발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