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화 이끈 큰 어른” 아이들 손잡고 문상

“민주화 이끈 큰 어른” 아이들 손잡고 문상

이슬기 기자
입력 2015-11-22 23:02
수정 2015-11-23 01: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김영삼 前대통령 빈소에 이어진 시민들 애도

22일 새벽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이 알려지자 시민들은 애도의 뜻을 표하며 고인의 명복을 기원했다. 오랜 군사정부 시대를 종식시키고 ‘문민’(文民) 정부를 구현해 낸 민주화 투사로서 그의 행보가 다시 한번 회자되는 한편 금융실명제, 하나회 척결 등 대통령 재임 시절 업적들에 대한 평가들도 나왔다.

이미지 확대
22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관련 뉴스를 TV로 보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22일 서울역에서 시민들이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관련 뉴스를 TV로 보고 있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 장례식장에 차려진 김 전 대통령의 빈소에는 고인을 애도하는 시민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았다. 초등학생 자녀들과 함께 빈소를 찾은 최호용(45·서울 성북구 안암동)씨는 “한국의 민주화를 위해 23일간의 단식도 마다하지 않은 큰 어른의 국상”이라며 “역사의 흐름도 배우고 견문도 넓히게 할 겸 아이들을 데리고 왔다”고 말했다.

이모(80·여·서울 서초구 반포동)씨도 “너무도 존경하는 분이라 몇 번 자택에도 찾아갔는데 새벽에 뉴스를 보고 놀라서 일찌감치 찾아왔다”며 “정직하고 양심이 바른 저런 분이 정치를 해야 한다고 늘 생각해 왔다”고 말하며 울먹였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인터넷 포털의 뉴스 댓글 등에는 고인의 업적에 대한 회상이 이어졌다. 포털 사이트 네이버의 김 전 대통령 부고를 알리는 뉴스에는 “금융실명제와 전직 대통령 청문회 등 민주주의를 실현한 고인을 존경합니다” 등 댓글이 많은 사람들의 ‘추천’을 받았다. ‘좌우 진영 논리에 관계없이 추모하고 존경해야 할 분’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대학원생 조은상(30)씨는 “다른 전직 대통령들과 달리 어느 진영에서나 완전한 숭배나 혐오의 대상이 되지 않으면서 현대사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는 점에서, 다양한 스펙트럼의 사람들이 앞으로 함께 회고하고 토론해야 할 인물”이라고 말했다.

공무원 박모(36·여)씨는 페이스북에서 “김 전 대통령이 ‘IMF 사태’(1997년 말 외환위기)를 초래한 주범인 양 몰아대는 주장이 있었지만 김 전 대통령부터 노무현 전 대통령까지 민주화의 세례를 온전히 받은 세대로서 그가 어떤 지도자보다 열정적이었고 자존심과 철학이 있었다고 말하고 싶다”고 애도했다. 직장인 송수근(44·서울 구로구)씨는 “하나회를 숙청해 군인이 정치에 더는 개입하지 못하게 싹을 자른 일과 역사 바로 세우기를 통해 군사 쿠데타를 일으킨 전두환·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을 법정에 세운 장면이 선명하다”고 회상했다.

시민사회단체들도 금융실명제나 공직자윤리법 제정 등 고인의 생전 업적을 언급하며 ‘오늘날 필요한 시대 정신을 가졌던 인물’이라고 평가했다. 이옥남 바른사회시민회의 정치실장은 “김 전 대통령은 결단력, 추진력에 있어 최고의 국가 지도자였다”며 “오늘날도 공무원 연금 개혁이나 노동 개혁 등 개혁 어젠다가 잘 추진되지 않고 있는데 당시 많은 반발을 불러일으킨 금융실명제를 실현시킨 건 지하 경제에 정의를 세운 획기적인 사건”이라고 평했다. 고계현 경제정의실천연합 사무총장은 “고인은 민주화 운동에 앞장서며 형식적 민주주의 실현을 위해 애쓴 것 외에 집권 이후 사회 투명성 제고를 위한 요소들을 찾아내 실천했다”면서도 “그러나 사회·경제 분야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해 임기 말에 외환위기를 초래했다는 비판은 면키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슬기 기자 seulgi@seoul.co.kr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2015-11-23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