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메르스 과잉 대응은 국가적 큰 손실”

김무성 “메르스 과잉 대응은 국가적 큰 손실”

입력 2015-06-05 13:59
수정 2015-06-05 13:5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새누리 부산시당도 긴급 대책회의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5일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에 과잉 대응하는 것은 국가적으로 큰 손실”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오전 부산시 영도구 한진중공업에서 열린 ‘한마음 비빔밥 행사’에 참석해 “초동 대응을 잘못한 것은 사실이며 거기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하지만 공포에서 빨리 벗어나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대표는 “메르스가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휴교하는 것은 잘못”이라며 “메르스가 사스(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나 신종플루보다 훨씬 전염력이 약하고 치사율 역시 폐렴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사실을 적극적으로 홍보해서 공포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대표는 “작년 세월호 충격 때문에 우리 경제가 굉장히 어려웠는데 지금처럼 메르스 공포가 과장되게 퍼지면 세월호 충격보다 10배는 더한 충격이 오게 돼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이날 부산공동어시장에서 열린 ‘대형선망 초출어식(初出漁式) 기념 행사’에서도 “메르스로 우리 사회가 큰 혼란을 겪고 있는데 사스보다 전염성이 훨씬 낮고 공기 전염이 안되는 만큼 너무 걱정하지 말고 일상생활을 해 달라”고 당부했다.

새누리당 부산시당도 이날 오전 부산시의회에서 메르스 관련 긴급 대책회의를 열고 부산시의 방역 태세를 점검했다.

유재중 시당위원장, 박민식, 서용교, 배덕광, 이헌승 의원과 부산시의회 보사환경위원회 소속 시의원들은 김기천 부산시 건강체육국장으로부터 시의 메르스 방역 준비상황을 보고 받고 메르스 유입 차단에 만전을 기해 달라고 당부했다.

박 의원은 “시민에게 투명하고 신속하게 메르스 관련 정보를 전달해야 하며, 발열 측정기를 공항 출국장에도 설치해 더는 국가적 망신을 사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 국장은 “하루평균 236건의 상담을 하고 있지만 아직 의심환자로 볼 만한 사례는 나타나지 않았다”면서 “메르스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부산역, 김해공항 국내선, 벡스코 등지에 발열 측정기를 이날 중 설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