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업 중에도 체온 재고 마스크 쓰고 수능 모의평가

휴업 중에도 체온 재고 마스크 쓰고 수능 모의평가

입력 2015-06-04 11:16
수정 2015-06-04 11: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경기 4개고 휴업중 실시, 메르스 우려 속 대거 결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확산되는 가운데 경기지역 고교에서도 4일 201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평가가 일제히 실시됐다.

이미지 확대
’마스크 쓰고 시험준비’
’마스크 쓰고 시험준비’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평가가 시행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경복고등학교에서 마스크를 쓴 학생이 시험을 준비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마스크 쓰고 시험 치르는 학생
마스크 쓰고 시험 치르는 학생 대학수학능력시험 모의고사가 치러진 4일 서울 종로구 안국동 풍문여자고등학교에서 한 학생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시험을 치르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메르스 환자 집중 발생지 주변 2개 지역 4개 고교에서는 휴업 중에도 희망학생을 대상자으로 시험을 치렀다. 그러나 사전 신청자 상당수가 응시하지 않아 메르스에 대한 불안감을 반영했다.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이날 경기지역 수능 모의평가를 신청한 434개 고교(13만7천901명) 가운데 429개 고교(13만7천30명)에서 시험을 치렀다. 휴업 중인 고교 5개교 1천147명도 신청했으나 이날 4개교 276명(24%)만 응시하고 1개교 871명(76%)이 결시했다.

메르스 환자가 집중 발생한 병원 소재지에 있는 A고교의 경우 모의평가 신청자 221명 가운데 46%인 102명이 응시한 채 긴장된 분위기 속에서 시험을 봤다.

교사들은 시험이 시작되기 전 아침 일찍부터 교문에서 체온기를 들고 학생들의 체온을 측정하고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학생들에게는 학교에서 준비한 마스크를 나눠줬다.

교실에 들어가서도 일일이 학생들에게 손세정제로 닦게 하고 시험을 보도록 지도했다.

한 교사는 “더운 날씨인데 창문을 닫고 마스크까지 쓰고 오후 5시까지 시험문제를 풀어야 하는 제자들이 안쓰럽다”며 “그래도 메르스 감염을 막고자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설명해 이해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같은 지역에서 휴업한 B고교의 경우 358명이 모의평가를 신청했으나 10%인 35명만 응시했으며, C고교의 경우 신청자 431명 중 졸업생 및 검정고시 출신 11명만 응시해 다른 고교에서 시험을 보는 것으로 파악됐다.

휴업을 하지 않은 D고교 측은 320여명이 큰 동요 없이 시험을 치르고 있으나 “학부모들 사이에서 대입 수능을 앞두고 수업결손을 우려하는 의견과 감염을 우려하는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며 고충을 토로했다.

메르스 첫 사망자가 발생한 병원 소재지 지역의 7개 고교는 모두 정상적으로 3학년 수능 모의평가와 1∼2학년 연합학력평가를 진행했다.

학교별로 발열증상이나 감기 기운이 있는 학생 서너 명을 제외하고는 전교생이 응시했다. 대부분 마스크를 착용한 채 시험을 봤으며 각급 교실에는 손소독제가 배치됐다.

앞서 이 지역 고등학교 교장단은 ‘모의수능과 연합평가 일정 연기’를 건의하기도 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아 예정대로 학사를 운영하기로 했다.

한 학교 관계자는 “우리 지역만 시험을 보지 않으면 수능을 앞두고 학생들에게 피해가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이 지역 고교 중 일부는 개교기념일 등의 이유로 5일 하루 재량휴업하지만 메르스와 관련한 휴업은 아직 검토하지 않고 있다.

다만 메르스 확산 추이를 지켜보면서 주말이 지나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으면 8일 교장단 협의회를 개최해 휴업 여부를 논의할 예정이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