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변화로 더위가 찾아오는 시기가 빨라짐에 따라 기상청이 폭염특보를 올해부터 연중 확대 운영하기로 했다고 14일 밝혔다.
2008년 6월부터 시작된 폭염특보는 종전에는 6∼9월에만 운영됐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5월에 폭염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2013년 평균 0.2일, 작년 1.3일 등으로 최근에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봄철(3∼5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4도가량 높았다. 이 때문에 5월부터 폭염현상이 나타나 1973년 이후 가장 더운 5월로 기록되는 등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폭염의 발생 빈도와 지속 기간이 증가할 가능성이 커 폭염특보를 언제든 발표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며 “취약계층 관리자를 대상으로 폭염특보 문자메시지(SMS)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2008년 6월부터 시작된 폭염특보는 종전에는 6∼9월에만 운영됐다.
2010년부터 2012년까지 5월에 폭염은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2013년 평균 0.2일, 작년 1.3일 등으로 최근에는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지난해의 경우 봄철(3∼5월) 평균기온이 평년보다 1.4도가량 높았다. 이 때문에 5월부터 폭염현상이 나타나 1973년 이후 가장 더운 5월로 기록되는 등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렸다.
기상청은 “앞으로도 폭염의 발생 빈도와 지속 기간이 증가할 가능성이 커 폭염특보를 언제든 발표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며 “취약계층 관리자를 대상으로 폭염특보 문자메시지(SMS) 서비스를 확대하겠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