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제 대학등록금 47개교 내려…인하폭 대부분 1% 미만

4년제 대학등록금 47개교 내려…인하폭 대부분 1% 미만

입력 2015-04-30 16:49
수정 2015-04-30 16:4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등록금 평균 연간 667만원…서울대 B학점 이상 82.9% ‘학점 인플레’ 여전

전국 4년제 대학의 ¼ 이상이 올해 등록금을 인하했지만, 인하폭은 대부분 1% 미만에 그쳤다.

교육부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는 30일 전국 4년제 일반대학 176개교의 주요 공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에 공시된 항목은 대학의 등록금 현황, 학생 규모별 강좌수, 교원강의 담당 비율, 학생 성적평가 결과 등 6개다.

2015학년도 4년제 일반대학의 학생 1인당 평균 연간 등록금은 667만원으로 집계됐다. 전체의 98.9%인 174개 대학이 등록금을 인하 또는 동결했다.

47개(26.7%) 대학은 등록금을 인하했고 127개(72.2%) 대학은 전년 수준으로 동결했다. 대학들의 등록금 인하·동결에도 인하폭이 작아 학생들이 체감하기에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학생들은 정부가 지원하는 국가장학금 등에도 연평균 600만원이 넘는 등록금을 감당하기에 부담이 크기 때문에 인하율이 낮다는 불만을 제기해왔다.

1인당 등록금을 가장 많이 내린 청주대는 26만3천100원(인하율 3.3%)을 인하했다.

그다음으로 신한대(23만300원·인하율 2.7%), 청운대(7만4천300원·1.0%), 상지대(6만6천500원·1.0%), 서경대(6만5천100원·0.8%), 위덕대(3만8천400원·0.5%), 금강대(3만6천원·0.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칼빈대는 1인당 등록금을 15만9천200원, 호남신학대는 14만3천원을 올렸다. 두 대학의 인상률은 각각 2.3%다.

1인당 등록금은 한국산업기술대가 901만1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연세대(866만600원), 을지대(850만100원), 한국항공대(847만1천800원), 이화여대(845만3천300원) 순으로 파악됐다.

중앙승가대(174만원), 영산선학대(200만원), 서울시립대(238만9천700원) 등 등록금이 낮은 대학들과 비교하면 600만원 넘게 차이가 났다.

입시업체 종로학원하늘교육이 대학 정보 사이트인 대학알미리에서 계열별 연간 평균 등록금을 분석한 결과, 의학계열이 926만원이나 됐고 이 가운데 고려대가 1천241만4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그 다음으로 공학계열 732만6천원, 예체능계열 725만9천원, 자연과학계열 686만7천원, 인문사회계열 571만7천원으로 집계됐다.

올해 평균 등록금은 작년 666만7천원보다 3천원 늘었지만 이는 지난해 의학전문대학원들이 의과대학으로 바뀐 영향을 받았다고 교육부는 설명했다.

대학이 학생들에게 B학점 이상을 많이 주는 ‘학점 인플레이션’ 현상도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 176개 대학에서 B학점 이상 받은 재학생의 비율은 69.8%(A학점 32.3%, B학점 37.5%)로 2013년 70.7%에서 0.9% 포인트 줄었다.

그러나 서울 소재 대학을 살펴보면 서울대가 82.9%나 됐고 경희대(81.4%), 서울시립대(79.2%), 동국대(77.6%), 연세대(76.4%), 고려대(75.8%) 등의 순으로 높았다.

서울대는 A학점 이상 취득 비율도 50.4%로 집계됐고 연세대(41.9%), 고려대(40.9%) 등도 40%를 넘었다.

작년 8월과 올해 2월 졸업생의 성적 분포를 보면 100점 만점에 80점 이상이 90.9%였고 한국외대(99.5%), 서울대(98.3%), 이화여대(97.6%) 등도 높았다.

지난해 한국외대 등 일부 대학은 ‘학점 인플레이션’을 완화하려고 상대평가의 강화를 추진하다가 학생들과 갈등을 빚었다.

또 올해 1학기 전임교원이 강의를 담당하는 비율은 62.7%로 작년보다 1.7% 포인트 증가했다.

20명 이하 소규모 강좌의 비율은 2014년 38.2%에서 올해 1학기 38.5%로 약간 늘었다.

학생 규모가 201명 이상인 초대형 강좌가 10개 이상인 대학은 모두 17개교이고 연세대가 32개로 가장 많다.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서울시의회 도시안전건설위원회 부위원장으로 의정활동하고 있는 김용호 시의원(국민의힘, 용산1)은 지난 18일 한국프레스센터 매화홀(19층)에서 개최된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에 참석해 축사를 전했다. 이번 포럼은 서울연구원이 주최하고, ‘신정부의 ESG 정책 기조와 서울시 ESG 경영 추진방향’을 주제로 ESG 경영 선도 도시 구현을 위한 정책 의제를 발굴하고 실효성 있는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관·산·학·연·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서울시 ESG 경영의 방향성과 과제를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였다. 포럼에는 김 의원을 비롯해 서울연구원 오균 원장, 서울시 120다산콜재단 이이재 이사장, 지속가능경영학회 김영배 회장, ESG 콜로키움 김영림 의원대표(동작구의원), 서울시의회 박상혁 교육위원장과 장태용 행정자치위원장, 용산구의회 이미재·김송환 의원, 종로구의회 김하영 의원, 강동구의회 강유진 의원 등이 참석했으며, 서강대학교 송민섭 교수,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종오 사무국장, 한국ESG평가원 손종원 대표, 국제사이버대학교 김수정 교수, 공기관 및 시민단체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김 의원은 축사에서 “기후위기와 사회적 불평등 문제가 심화
thumbnail - 김용호 서울시의원, ‘제1회 2025 서울 ESG 경영포럼’ 참석 축사…서울시 정책기조 실현 강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