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이주노동운동협의회·이주공동행동·민주노총 등은 21일 오후 서울 종로구 보신각 앞에서 집회를 열어 “한국 내에서 발생하는 모든 이주민들에 대한 각종 차별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이주민 100여명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매년 3월 21일)을 기념해 발표한 ‘선언문’에서 “체불임금과 산재 등 권리 구제를 받아야 할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다는 이유로 단속 대상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주노동자들은 ‘일자리 도둑’이 아니라 한국 경제에 이바지하는 사람들이자 한국 사회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이웃들”이라며 각종 차별 행위를 멈추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집회 후 ‘인종차별 중단’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퍼포먼스를 한 뒤 국가인권위원회까지 행진했다.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은 1960년 3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차별정책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로 시민 69명이 숨진 사건에서 유래했으며, 유엔이 1966년 공식 기념일로 선포했다.
한편 이날 광화문 KT 빌딩 앞에서는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이하 민권연대)가 ‘반전평화 거리 연설회’를 열어 한미연합군사훈련과 대북 전단 살포를 멈추고 미국의 고(高)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계획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이주민 100여명은 유엔이 지정한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매년 3월 21일)을 기념해 발표한 ‘선언문’에서 “체불임금과 산재 등 권리 구제를 받아야 할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다는 이유로 단속 대상이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이주노동자들은 ‘일자리 도둑’이 아니라 한국 경제에 이바지하는 사람들이자 한국 사회를 다양하고 풍부하게 만드는 이웃들”이라며 각종 차별 행위를 멈추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집회 후 ‘인종차별 중단’이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퍼포먼스를 한 뒤 국가인권위원회까지 행진했다.
’세계 인종차별 철폐의 날’은 1960년 3월 21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인종차별정책에 반대하며 평화적 집회를 벌이다 경찰의 발포로 시민 69명이 숨진 사건에서 유래했으며, 유엔이 1966년 공식 기념일로 선포했다.
한편 이날 광화문 KT 빌딩 앞에서는 민주민생평화통일주권연대(이하 민권연대)가 ‘반전평화 거리 연설회’를 열어 한미연합군사훈련과 대북 전단 살포를 멈추고 미국의 고(高)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의 한반도 배치 계획도 즉각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