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 파업 중인 LGU+와 SK브로드밴드의 협력업체 근로자 2명이 파업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도심 고공농성에 들어갔다.
이미지 확대
LGU+·SKB 협력사 직원 2명 도심 고공농성 돌입 희망연대노조 LGU+ 비정규직지부 조직부장 강세웅(46) 씨와 SK브로드밴드 비정규직지부 연대팀장 장연의(42) 씨가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 옆 20여m 높이의 광고탑 위에 올라 파업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원청인 SK브로드밴드와 LGU+가 노조와의 교섭에 직접 나서 파업 사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으며, 두 사람은 이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농성을 지속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LGU+·SKB 협력사 직원 2명 도심 고공농성 돌입
희망연대노조 LGU+ 비정규직지부 조직부장 강세웅(46) 씨와 SK브로드밴드 비정규직지부 연대팀장 장연의(42) 씨가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 옆 20여m 높이의 광고탑 위에 올라 파업 사태 해결을 촉구하며 고공농성을 벌이고 있다. 이들은 원청인 SK브로드밴드와 LGU+가 노조와의 교섭에 직접 나서 파업 사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으며, 두 사람은 이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농성을 지속할 방침이다. 연합뉴스
6일 오전 3∼4시께 희망연대노조 LGU+ 비정규직지부 조직부장 강세웅(46) 씨와 SK브로드밴드 비정규직지부 연대팀장 장연의(42) 씨가 서울 중구 서울중앙우체국 옆 20여m 높이의 광고탑 위에 올라 고공농성에 돌입했다.
이들은 광고탑에 ‘LG·SK통신 비정규직 장기파업 해결하라’, ‘진짜 사장 LG·SK가 통신 비정규직 책임져라’ 등의 문구가 적힌 현수막을 내걸었다.
이들은 원청인 SK브로드밴드와 LGU+가 노조와의 교섭에 직접 나서 파업 사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하고 있으며, 두 사람은 이런 요구가 관철될 때까지 농성을 지속할 방침이다.
LGU+와 SK브로드밴드의 협력업체에 고용된 인터넷·IPTV 설치기사들로 구성된 노조는 임금인상과 노동시간 단축 등 근로복지 개선을 요구하며 작년 11월 파업을 시작했다.
당초 이날 오전 10시부터 LGU+ 본사 인근에서 오체투지 행진을 하려던 ‘정리해고 비정규직 전면폐기 SK-LG 통신비정규직 투쟁 승리를 위한 오체투지 행진단’ 700여명(경찰 추산)은 고공농성장 밑으로 몰려와 대기 중이다.
119구급대도 고공농성 현장에 출동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앞서 작년 말까지 204일째 파업했던 케이블방송 씨앤앰(C&M) 노조원 2명도 광화문 인근 광고탑 위에서 50일째 농성을 벌이다 파업이 종료되자 내려온 바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