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최다 외국 우호도시 맺은 서울시장은 누구

역대 최다 외국 우호도시 맺은 서울시장은 누구

입력 2013-05-04 00:00
수정 2013-05-04 11:4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오세훈·이명박·박원순 1~3위…최장거리는 부에노스아이레스

역대 서울시장 중 가장 많은 외국 주요 도시들과 자매·우호 교류를 맺은 사람은 누구일까.

4일 서울시 통계에 따르면 오세훈 전 시장이 12곳으로 1위를 차지했으며 이어 이명박 전 시장(6곳), 이해원 전 시장과 박원순 시장(각 3곳) 순으로 나타났다.

오 전 시장은 2006년 미국 로스앤젤레스와 우호도시를 체결한 후 2007년 이탈리아 밀라노, 2008년 벨라루스 민스크, 2010년 에티오피아 아디스아바바·일본 홋카이도·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 2011년 모잠비크 마푸투와 교류했다.

오 전 시장은 특히 중국과의 교류 확대에 집중했다. 그는 재임 중 중국 산둥성을 비롯해 장쑤성, 광둥성, 절강성, 톈진시와 우호도시를 맺었다.

이명박 전 시장은 2004년 카자흐스탄 아스타나를 시작으로 미국 워싱턴D.C, 그리스 아테네, 태국 방콕과 자매도시를 맺었고 헝가리 부다페스트, 터키 이스탄불과는 우호도시를 체결했다.

이해원 전 시장은 1991년에 러시아 모스크바,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프랑스 파리와 자매도시를 맺었다.

취임한 지 1년 5개월 된 박원순 시장은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스페인 바르셀로나와 우호도시를 체결했다.

최경주 서울시 국제교류담당관은 “민선이 되면서 교류가 확대하고 있다”면서 “최근에는 양보다 질적 교류가 중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돼 교류 프로그램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가 맨 처음 자매도시를 맺은 곳은 대만의 타이베이다. 1968년 김현옥 전 시장이 자매결연을 한 이래 공무원 초청연수, 장학금 지원, 전자정부 협약 체결 등 다양한 교류가 이뤄지고 있다.

자매·우호도시가 제일 많은 국가는 중국(6곳)이며 이어 미국(4곳), 일본·터키(각 2곳) 순이다.

1년에 한 번 만나기 어려운 먼 도시도 있다. 작년 6월 우호교류 협약을 한 부에노스아이레스가 서울에서 1만9천415㎞ 떨어져 있고 1977년 구자춘 전 시장이 자매결연한 상파울루도 1만8천320㎞ 거리에 있다.

상대적으로 많은 교류가 이뤄지는 곳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 같은 동남아시아권이라고 시는 설명했다.

최 담당관은 “서울의 전자정부나 교통체계 등 우수한 시스템을 배우려는 곳이 늘고 있다”며 “최근에는 미얀마 양곤도 우호도시 체결을 원하고 있어 추진 중이며 시정 수출 방법을 다각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117년 만의 기록적 폭염 속에서 서울지하철 일부 역사가 체감온도 40도에 가까운 ‘찜통’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지향 서울시의원(국민의힘, 영등포 제4선거구)은 서울교통공사로부터 제출받은 7월 22일부터 24일까지 서울지하철 각 호선 주요 역사 17개 역을 대상으로 오전 8시, 오후 3시, 오후 6시의 온도를 표본 측정자료를 분석한 결과, 옥수역의 경우 24일 오후 3시 39.3도, 오후 6시 38.1도를 기록하는 등 시민들은 ‘찜통역’을 경험하고 있다고 밝혔다. 2호선 성수역 또한 24일 오후 39도를 기록하는 등 매우 높은 온도를 기록했으며 조사한 3일간 오전 8시 온도 역시 30도를 넘겨 오후 기록보다는 낮지만, 서울지하철 기준온도(가동기준온도 29℃)보다 높은 것을 확인했다. 조사 결과, 지하역사인 아현역(최고 31.2도), 한성대입구역(최고 31.5도), 서울역(30.5도)도 조사 기간 내 오후뿐만 아니라 아침 시간대에도 이미 29~30도를 기록하여 시민들이 온종일 더위에 노출되고 있으며, 실제 체감온도는 측정치보다 훨씬 높았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지상역사에 비해 지하역사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이지만, 밀폐 구조로 인해 공기가
thumbnail - 김지향 서울시의원 “지상은 39도, 지하도 31도 넘었다···서울지하철 폭염 재난수준”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