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민주화운동을 상징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의 탯자리에 노래비가 들어선다. 황석영(70) 작가가 백기완(71)씨의 ‘묏비나리’란 시를 개작했고 당시 전남대생이던 김종률(55)씨가 곡을 붙인 노래다.
이미지 확대
황석영 작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황석영 작가
광주 북구 운암2동 주민들은 5·18 33주년을 맞아 황 작가의 집이 있었던 현 광주문화예술회관 자리에 노래비를 건립하기로 했다고 21일 밝혔다. 서슬 퍼런 1980년대 신군부의 눈을 피해 제작된 ‘임을 위한 행진곡’의 역사성을 보존하고 가치를 널리 알리겠다는 취지다. 황 작가가 살던 집은 북구 북문대로 60번지로, 2층 서재는 광주 문화인들의 사랑방 구실을 했다. 황 작가는 1986년 이 집이 문예회관으로 수용되기 직전까지 약 6년 동안 광주에서 활발한 민중 문화 활동을 펼쳤다. 금지곡으로 묶였다가 1987년 2월 북구 망월동 시립묘지에서 열린 한 쌍의 결혼식에서 ‘임을 위한 행진곡’이 공식적으로 불렸다. 광주민주화운동 때인 1980년 시민군 대변인으로 활약하다 전남도청에서 사망한 윤상원(당시 30)씨와 1979년 전남대 국사교육학과 3학년에 다니다 노동현장에서 숨진 박기순(21·여)씨의 영혼결혼식이었다.
노래비 사업이 예정대로 진행되면 다음 달 공사를 시작해 10월에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 최치봉 기자 cbchoi@seoul.co.kr
2013-04-22 2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