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우리나라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105만5천원으로 집계됐다.
15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순계예산 기준 전국 주민 1인당 평균 지방세 부담액은 105만5천원으로 작년 106만원에 비해 5천원 줄어들었다.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2008년 88만4천원에서 작년 처음 100만원을 넘어서면서 4년새 20% 가까이 늘었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지자체별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의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하 총계예산 규모 기준)이 135만 7천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123만7천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17.3%인 18만2천원 많았다. 광역시는 울산이 88만9천원, 부산은 78만5천원, 인천은 75만6천원, 대전은 71만2천원, 대구는 70만원, 광주는 69만2천원 순이었다.
도 중에는 제주도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113만9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60만6천원, 충남이 53만7천원, 경남이 52만9천원, 강원이 44만5천원, 충북이 44만원, 경북이 41만9천원, 전북이 39만원, 전남이 37만3천원 이었다.
시·군 별로는 충남 아산시가 9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문경시가 25만1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군은 경기도 연천군이 89만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영양군이 16만2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자치구 중에는 서울 중구가 80만8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북구가 8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안행부 관계자는 “각 지자체에서 올해 지방세가 취득세 감면 등으로 적게 걷힐 것으로 예상한데다 인구가 늘어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종시는 일시적으로 부동산 등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재산세와 취득세 세입이 증가,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늘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15일 안전행정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 지방자치단체의 일반회계 순계예산 기준 전국 주민 1인당 평균 지방세 부담액은 105만5천원으로 작년 106만원에 비해 5천원 줄어들었다.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은 2008년 88만4천원에서 작년 처음 100만원을 넘어서면서 4년새 20% 가까이 늘었지만 올해는 이례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추산됐다.
지자체별로 특별자치시인 세종시의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하 총계예산 규모 기준)이 135만 7천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다.
서울시는 123만7천원으로 전국 평균보다 17.3%인 18만2천원 많았다. 광역시는 울산이 88만9천원, 부산은 78만5천원, 인천은 75만6천원, 대전은 71만2천원, 대구는 70만원, 광주는 69만2천원 순이었다.
도 중에는 제주도의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113만9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기도가 60만6천원, 충남이 53만7천원, 경남이 52만9천원, 강원이 44만5천원, 충북이 44만원, 경북이 41만9천원, 전북이 39만원, 전남이 37만3천원 이었다.
시·군 별로는 충남 아산시가 97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문경시가 25만1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군은 경기도 연천군이 89만6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경북 영양군이 16만2천원으로 가장 적었다. 자치구 중에는 서울 중구가 80만8천원으로 가장 많았고, 부산 북구가 8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안행부 관계자는 “각 지자체에서 올해 지방세가 취득세 감면 등으로 적게 걷힐 것으로 예상한데다 인구가 늘어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줄어든 것으로 보인다”면서 “세종시는 일시적으로 부동산 등의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재산세와 취득세 세입이 증가, 주민 1인당 지방세 부담액이 늘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