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전국 방사선 수치 인터넷에 수시 게재 日, 시민단체 직접 나서 식품 내 방사능량 조사
미국은 환경보호청(EPA)과 식품의약국(FDA)등이 주도적으로 생활 방사능에 의한 피해를 미연에 막는 데 주력하고 있다. EPA는 피폭선량 평가 프로그램(SDCC)을 가동해 전국 각지의 방사선 수치를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수시로 게시하는 것은 물론 국민에게 피해를 입힐 정도의 방사능 위험이 대두할 경우 적극적으로 보호 대책을 취하고 있다.FDA는 방사능 오염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마련한 위생·보건을 위한 방사선 규제법에 따라 X선 기계·텔레비전·전자레인지 같은 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방사능도 규제한다. FDA는 올해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한 원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일본산 유제품과 채소, 과일 제품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정부뿐 아니라 많은 민간인들이 요오드화칼륨 등 방사능 해독제를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 또 각종 시민단체에서 방사능 위험성을 홍보하며 계도활동을 펴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일본 문부과학성은 후쿠시마현을 비롯해 도쿄 등 동일본 지역의 방사능 수치를 매일 발표하고 있다. 하지만 후쿠시마 제1 원자력발전소 사고 이후 정부 발표에 대한 불신이 커지면서 시민단체들과 지역 내 주부 모임 등이 자발적으로 생활방사능 수치를 측정하고 대처 방안을 공유하고 있다. 최근 도쿄 주택가인 세타카야구에서 높은 방사선량을 내뿜는 라듐 병을 잇따라 발견한 것도 각 지역 주민들이 직접 방사능 수치를 측정하면서 이뤄낸 성과다.
시민단체들의 활동이 특히 눈부시다. ‘어린이를 방사능으로부터 지키는 전국 네트워크’는 도쿄의 구마다 설치돼 있다. 원전 사고 이후 먹거리에 대한 공포가 가시화되자 식품의 방사능 함유량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장기적인 건강 피해를 낳는 내부 피폭을 막기 위한 행동 지침 등도 널리 알리고 있다. 조사 결과나 의견을 구나 정부에 직접 제시해 대응책을 이끌어 내는 것도 주요 활동 중 하나다.
도쿄 이종락·워싱턴 김상연특파원
jrlee@seoul.co.kr
2011-11-1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