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임오프제로 힘들다” 유서 남겨… 노조 조업 거부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노동조합이 조합원 자살과 관련해 조업을 거부하면서 9일 공장 가동이 전면 중단됐다. 노조는 숨진 조합원이 지난 4월 1일부터 시행된 타임오프제로 힘들어하던 것이 자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다고 주장하고 있어 사태 장기화 우려와 함께 이후 현대차 임단협에 있어 노사갈등을 촉발하는 등 파문이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공장 가동 중단은 오전 8시 30분쯤 충남 아산시 인주면 현대자동차 아산공장 내 화장실에서 조합원 박모(49)씨가 목을 매 숨져 있는 것을 동료가 발견해 경찰에 신고하면서 촉발됐다. 노조는 이 사건이 회사의 노조 탄압으로 일어났다며 회사 측에 박씨에 대한 산재 인정과 관련자 처벌 등을 요구하며 오후 2시 30분부터 조업을 거부하면서 공장 가동이 중단됐다.
노조에 따르면 박씨는 ‘노동안전위원으로 활동하며 조합원들을 면담하는 데 사용한 시간을 회사 측이 타임오프제 시행을 이유로 무급 처리하거나 무단 이탈이라며 근무 태도를 지적해 힘들다.’는 유서를 남겼다.
아산공장은 현대차의 핵심 차종인 ‘그랜저’와 ‘쏘나타’를 생산하고 있어 사태가 장기화될 경우 주요 부품 생산업체인 유성기업의 가동 중단에 따른 생산차질 사태가 재현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까지도 민주노총에서 유성기업의 공권력 투입을 규탄하는 농성을 개최하는 등 불씨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이번 현대차 아산공장 조합원 자살 사건이 기름을 끼얹는 격이 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또한 현대차 노조는 타임오프제 도입 이후 230명이 넘는 전임자가 두 달째 월급을 받지 못하고 있고 다음 달 복수노조 도입을 앞두고 사측과 마찰 조짐을 보이고 있어 박씨의 자살사건이 갈등의 핵이 될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노조는 오후 울산에서 급히 올라온 이경훈 현대차 노조위원장과 함께 아산공장 노조사무실에서 회의를 갖고 조합원과 유가족이 참여하는 대책위원회를 구성해 회사 측과 대화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유가족도 오후 6시쯤 사고 이후 거부했던 시신 인도를 수용해 공장 가동 전면 중단으로 번진 조합원 자살사건이 원만하게 해결될 가능성도 있다.
아산 이천열기자 sky@seoul.co.kr
2011-06-10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