즉석만남 ‘하룻밤’…몰카가 도사린다

즉석만남 ‘하룻밤’…몰카가 도사린다

입력 2010-12-22 00:00
수정 2010-12-22 07:5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흥업소나 인터넷 등을 통해 즉석만남을 갖다 성관계 장면이 몰래카메라에 찍히는 사건이 잇따르고 있어 주의해야 한다.

22일 법원에 따르면 A(여)씨는 작년 나이트클럽에서 알게 된 대학생 이모(25)씨를 따라 서울시내 모텔에서 두 차례 성관계를 가졌다.

이씨는 디지털 카메라로 A씨 몰래 성행위 장면을 촬영했고 두 사람의 얼굴과 은밀한 행동이 담긴 동영상 파일이 이씨 컴퓨터에 보관돼 있다가 인터넷에 유포됐다.

이씨는 이 파일에서 얼굴을 알아본 친구의 연락마저 무시한 채 몰카 행각을 멈추지 않았다.

6월 호프집에서 만난 30대 여성과 모텔에서 성관계를 맺으며 휴대전화 카메라에 이 장면을 담는 등 2008년 1월부터 올해 7월까지 여성 11명과 모텔을 찾아 성행위 장면, 욕조에서 잠든 모습 등을 닥치는 대로 촬영했다.

그는 이렇게 만난 여성 중 한 명이 술에 취해 의식을 잃은 틈에 성관계한 혐의(준강간)로 고소당했으며 수사 과정에서 범행이 드러나 법의 심판을 받았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6부(배광국 부장판사)는 이씨의 공소사실 가운데 피해자가 처벌을 원치 않는다고 밝힌 준강간, 폭행, 협박 혐의를 공소기각하되 당사자의 의사에 반한 촬영을 유죄로 판단해 징역 2년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고 영상물을 폐기하라고 명했다.

작년 9월 B양은 인터넷 채팅으로 알게 된 김모(34)씨를 만나 ‘눈을 가리고 팔을 묶은 채 성관계하자’는 제의에 응했다가 알몸을 찍혔고, C(여)씨는 성적 학대(SM)를 주제로 하는 인터넷 카페에서 접촉한 이모(22)씨의 협박을 이기지 못해 나체사진을 보내줬다.

중년인 D(여)씨는 나이트클럽에서 만난 김모(42)씨와 함께 있다 수면제가 든 맥주를 먹고 의식을 잃은 채 모텔에 끌려가 벌거벗은 채 사진을 찍혔고 ‘500만원을 주지 않으면 남편에게 알리겠다’는 협박에 시달렸다.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영상을 마구 촬영한 이들 남성에게는 이씨와 마찬가지로 법원에서 잇따라 징역형에 집행유예가 선고됐다.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서울시의회 허훈 의원(국민의힘, 양천2)은 지난 30일 이기재 양천구청장과 함께 오세훈 서울시장을 만나 목동6단지와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를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주민간담회를 통해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방문은 목동신시가지 단지 재건축과 목동운동장·유수지 일대 통합개발의 신속 추진 논의를 위해 마련됐다. 이날 방문한 목동6단지는 전체 14개의 목동신시가지 단지 중 가장 빠르게 재건축이 추진되고 있는 단지로, 서울시의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사업 절차가 대폭 단축됐다. 최근에는 서울시가 24일 발표한 ‘주택공급 촉진방안’의 첫 공정관리 시범사례로 지정돼, 정비사업 전 단계를 기존 18.5년에서 13년으로 단축하고, 단계별 공정 집중 관리를 통해 11년 이내 착공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동6단지의 선도적인 추진을 필두로, 연내 전 단지 결정고시와 조기착공 시범사업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시는 올해 안에 14개 전체 단지 정비계획을 결정 고시하고, 협의체를 구성해 조기 착공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목동 6·8·12·13·14단지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했고, 목동 4·5·7·9·10단지는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가 끝났다. 목
thumbnail - 허훈 서울시의원, 오세훈 시장과 목동 재건축·목동운동장 통합개발 현장방문…‘신속 추진’ 주민 의견 전달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