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청장 이건무)은 경북 경산의 상엿집과 관련 문서 11건 19점을 국가지정문화재인 중요민속자료 제266호로 지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미지 확대
경산 상엿집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경산 상엿집 연합뉴스
상엿집은 전통장례에 쓰는 상여와 그에 딸린 여러 도구를 넣어 두는 초막으로, 곳집이라고도 부른다. 경산시 하양읍 대학리 상엿집은 상량문에 ‘임금이 즉위한 지 28년인 신묘년 2월25일에 상량함(上之 二十八年 辛卯 二月 十九日 巳時 立柱 二十五日 五時 上梁)’이라는 내용이 적혀 있어 조선 고종 28년(1891)에 건립한 것임을 알 수 있다. 건물 내부는 상여를 보관하는 공간과 부속품 등을 두는 공간으로 나뉘어 있는데 흙벽과 평지 바닥으로 된 일반 상엿집과 달리 전체가 목재를 사용한 벽과 높은 마루로 지어져 있다는 점에서 건축학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이순녀기자 coral@seoul.co.kr
2010-08-31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