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국무부는 지난 23일(현지시간) 핵 억제력에 기초한 ‘성전’을 개시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힌 북한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미국은 북한의 이 같은 호전적인 발언들은 어떤 경우에도 합리화될 수 없다면서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들에는 보상이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영국의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영춘 북한 인민무력부장의 ‘성전’ 운운 발언에 대해 “호전적인 말들은 합리화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크롤리 차관보는 “우리는 전에도 이 같은 말들을 들어 봤다.”면서 “불행하게도 종종 북한의 이같은 (호전적) 발언들은 미사일 실험이나 핵실험, 또는 지난달 발생한 한국에 대한 포격 등과 같은 무책임한 행동들로 이어졌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들에 대해서는 어떤 보상도 없을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미국은 북한이 최근 방북한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를 통해 잇따라 ‘유화 제스처’를 보인 직후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면서 무덤덤하게 반응하고 북한의 행동 변화를 촉구한 바 있다.
미국은 최근 북한이 유화 제스처에 이어 곧바로 이처럼 호전적인 발언을 쏟아내자 “낡은 호전적 술책”이라고 일축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유감스럽게도 북한이 자신들의 낡은 호전적 술책으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우리는 격렬한 레토릭이 아닌 건설적인 행동을 원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은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군권을 장악한 지 19주년이 되는 때(24일)에 맞춘 의도적인 행동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미국은 북한의 이 같은 호전적인 발언들은 어떤 경우에도 합리화될 수 없다면서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들에는 보상이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영국의 BBC방송과의 인터뷰에서 김영춘 북한 인민무력부장의 ‘성전’ 운운 발언에 대해 “호전적인 말들은 합리화될 수 없다.”며 이 같이 밝혔다.
크롤리 차관보는 “우리는 전에도 이 같은 말들을 들어 봤다.”면서 “불행하게도 종종 북한의 이같은 (호전적) 발언들은 미사일 실험이나 핵실험, 또는 지난달 발생한 한국에 대한 포격 등과 같은 무책임한 행동들로 이어졌다.”고 우려를 표시했다. 그는 그러면서 북한의 “도발적인 행동들에 대해서는 어떤 보상도 없을 것”이라고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미국은 북한이 최근 방북한 빌 리처드슨 뉴멕시코 주지사를 통해 잇따라 ‘유화 제스처’를 보인 직후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줘야 한다.”면서 무덤덤하게 반응하고 북한의 행동 변화를 촉구한 바 있다.
미국은 최근 북한이 유화 제스처에 이어 곧바로 이처럼 호전적인 발언을 쏟아내자 “낡은 호전적 술책”이라고 일축했다.
크롤리 차관보는 이날 자신의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유감스럽게도 북한이 자신들의 낡은 호전적 술책으로 돌아가고 있다.”면서 “우리는 격렬한 레토릭이 아닌 건설적인 행동을 원한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한반도 전문가들은 북한이 강경한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은 북한의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군권을 장악한 지 19주년이 되는 때(24일)에 맞춘 의도적인 행동으로 보고 있다.
워싱턴 김균미특파원
kmkim@seoul.co.kr
2010-12-25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