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개성공단을 통해 북한 개성시에 무상으로 공급해 오던 수돗물을 상당량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북한이 일방적으로 개성공단 토지 사용료·임금 인상을 요구하는 것과 때를 같이하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15일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개성공단 정·배수장에서 생산돼 개성 시내로 공급돼 온 수돗물을 종전의 하루 1만 5000t에서 지난해 12월부터 하루 1만t으로 5000t가량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개성공단 정·배수장 완공 이후 하루에 1만 5000t 안팎으로 꾸준히 개성시에 공급하던 수돗물을 이처럼 큰 폭으로 줄인 것은 사실상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북한 지역에 가뭄이 닥치면서 개성공단 정·배수장의 수원지인 월고저수지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시행한 절수 대책의 일환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개성공단에서는 북측의 일방적인 토지 사용료, 임금 인상 추진으로 남북 간 마찰 발생이 우려되는 가운데 개성시 수돗물 무상 공급 문제는 상황에 따라 새로운 변수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개성공단에 공급하는 수돗물도 하루 5000t으로 이전보다 2000t가량 줄였다.
정부는 북측에 낡은 수도관에서 새는 물을 막고 누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성 시내로 가는 수도관로에 대한 조사를 먼저 제안했지만 북측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개성의 인구는 3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북한의 상수도 체계가 미흡한 탓에 이 중 상당수가 우리 측이 무상으로 공급하는 수돗물을 식수로 써 온 것으로 알려졌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15일 통일부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개성공단 정·배수장에서 생산돼 개성 시내로 공급돼 온 수돗물을 종전의 하루 1만 5000t에서 지난해 12월부터 하루 1만t으로 5000t가량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개성공단 정·배수장 완공 이후 하루에 1만 5000t 안팎으로 꾸준히 개성시에 공급하던 수돗물을 이처럼 큰 폭으로 줄인 것은 사실상 처음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최근 북한 지역에 가뭄이 닥치면서 개성공단 정·배수장의 수원지인 월고저수지의 수위가 낮아짐에 따라 시행한 절수 대책의 일환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최근 개성공단에서는 북측의 일방적인 토지 사용료, 임금 인상 추진으로 남북 간 마찰 발생이 우려되는 가운데 개성시 수돗물 무상 공급 문제는 상황에 따라 새로운 변수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개성공단에 공급하는 수돗물도 하루 5000t으로 이전보다 2000t가량 줄였다.
정부는 북측에 낡은 수도관에서 새는 물을 막고 누수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해 개성 시내로 가는 수도관로에 대한 조사를 먼저 제안했지만 북측이 이를 거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개성의 인구는 3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전해지는데 북한의 상수도 체계가 미흡한 탓에 이 중 상당수가 우리 측이 무상으로 공급하는 수돗물을 식수로 써 온 것으로 알려졌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2015-03-16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