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법자 524명도 현역 판정…전체병사 23.1%가 보호관심병사지난해 폭행·가혹행위로 형사처벌 1천100건, 징계 6천95건
병역자원 부족으로 징병 대상자 대부분이 현역으로 입대함에 따라 심리이상자도 대거 야전부대에 배치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윤모 일병 폭행·사망 사건을 계기로 병영문화 개선의 목소리가 커진 5일 경기 의정부시 306보충대로 입영하는 아들을 배웅하는 부모들의 표정이 불안해 보인다. 아들은 나라를 지키러 가지만 부모는 아들을 지키고 싶은 심정이 역력하다.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손형준 기자 boltagoo@seoul.co.kr
병역자원 부족 현상이 이어지면서 2022년이 되면 현역 판정비율이 98%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현역 판정비율이 높아지면서 현역 복무에 부적합한 자원도 입대하는 실정이다.
지난해 현역 입영자 32만2천명 중 심리이상자는 2만6천여명, 입대전 범법자는 524명에 달했다.
육군의 한 관계자는 “국가별 징병검사 기간을 보면 우리나라는 하루 4시간에 불과하나 미국과 스위스는 사흘에 걸쳐 총 24시간에 달한다”며 “정밀한 징병검사 시스템 도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현역 복무에 부적합한 자원이 야전부대로 입대함에 따라 보호관심병사 등도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올해 6월 30일 기준으로 전체 병사 중 23.1%(8만811명)가 보호관리병사로 분류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C급은 5만2천647명(15%), B급은 1만9천530명(5.6%)이며 A급은 8천634명(2.5%)이다.
현역복무 부적합 판정을 받아 조기 전역하는 장병도 2010년 842명에서 지난해 1천307명으로 증가했다.
또 지난해 인명사고로 사망한 병사는 90명이며, 이 중 62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폭행 및 가혹행위 처벌 건수는 2009년 형사처벌 977건, 징계 5천984건에서 지난해 형사처벌 1천100건, 징계 6천95건으로 각각 늘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