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당일 ‘협치’ 강조한 여야…방법론엔 ‘온도차’

추석 당일 ‘협치’ 강조한 여야…방법론엔 ‘온도차’

최현욱 기자
최현욱 기자
입력 2023-09-29 10:09
수정 2023-09-29 10: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재명, 尹대통령에 ‘민생영수회담’ 제안
국민의힘 “뜬금 없다, 여야 대표 회담 먼저”

이미지 확대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8일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을 찾은 홍익표 원내대표와 면담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28일 서울 중랑구 녹색병원을 찾은 홍익표 원내대표와 면담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여야가 추석 당일인 29일 일제히 ‘협치’에 대한 의지를 밝혔지만, 구체적인 방법론에서는 온도차를 보였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조건 없는 ‘민생영수회담’을 제안했고, 국민의힘은 “함께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보여주자”는 원론적 입장을 전했다.

이 대표는 이날 페이스북에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조건 없이 만나 민생과 국정을 허심탄회하게 논의하고, 할 수 있는 일들은 신속하게 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며 “윤 대통령의 전향적인 결단을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지난해 8월 당 대표에 취임한 이 대표는 그간 윤 대통령을 향해 여러 차례 영수회담을 제안한 바 있지만, 성사로 이어지지는 못했다. 추석 직전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기각돼 여론 반전의 기회를 잡은 상황에서, 선제적인 영수회담 제안을 통해 정치권의 주된 프레임을 자신의 사법리스크에서 ‘민생·협치’로 전환하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이 대표는 “정치는 상대의 다른 생각과 입장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대화와 타협을 통해 국민이 공감하는 새로운 길을 만들어 가는 것”이라며 “최소한 12월 정기국회 때까지 정쟁을 멈추고 민생 해결에 몰두하자”고 강조했다.

또 “민생 고통에 시달리는 국민들께서는 누가 더 잘하냐는 선의의 경쟁보다, 민생을 외면한 채 상대를 부정하는 전쟁 같은 정치가 불안하고 불편하다”며 “민생의 핵심은 경제이고, 경제는 심리다. 대통령과 야당이 머리를 맞대는 것만으로도 회복의 신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이 대표는 “국민께 일말의 희망이라도 드릴 수 있다면, 국민의 삶이 반걸음이라도 나아진다면, 이 모두가 국정을 전적으로 맡고 있는 대통령님과 정부 여당의 성과일 것”이라며 “이 엄중한 시기에 국민의 삶을 개선하라고 잠시 맡겨진 국가권력이 국민의 삶과 무관한 일에 낭비되는 것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미지 확대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연합뉴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 연합뉴스
강민국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같은날 논평에서 “지난 1년여를 넘게 대한민국의 ‘국회’와 ‘정치’가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한치도 벗어나지 못한 것이 현실”이라며 “21대 마지막 국회만큼은 여야 함께 일하는 국회의 모습을 국민께 보여드릴 수 있기를 요청한다”고 했다.

다만 이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에 대해서는 즉각 수용이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강 수석대변인은 “뜬금 없는 영수회담 제안”이라며 “국민의힘의 여야 대표회담 제안에 먼저 답하라”고 반문했다.

강 수석대변인은 이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한 공세를 이어갔다. 그는 “민생 회복을 위해 힘을 합쳐도 모자를 시간에 제1야당은 당대표 사법리스크의 방탄에 갇혀 정쟁에만 골몰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국민의힘과 윤석열 정부는 진정한 민생정치를 펼치라는 국민의 명령을 겸허히 받들어, 오로지 ‘민생’을 챙기고 ‘경제’를 살리기 위해 국민만 바라보며 정진하겠다”며 “현장의 다양한 목소리에 귀 기울여 국민의 삶을 돌아보고, 촘촘한 지원책으로 약자들이 소외되지 않도록 살피며, 비정상을 바로잡아 공정과 상식이 통하는 대한민국으로 만들어가겠다”고 설명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사법고시'의 부활...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1. 부활하는 것이 맞다.
2. 부활돼서는 안된다.
3. 로스쿨 제도에 대한 개편정도가 적당하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