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과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유엔사 주요 직위자 초청 간담회에 입장하며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과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과 악수하는 윤석열 대통령
윤석열 대통령이 10일 오후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유엔사 주요 직위자 초청 간담회에 입장하며 폴 러캐머라 유엔군사령관과 악수하고 있다.-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은 10일 “유엔군사령부의 역할은 유엔 역사에서도 유일하며, 자유를 위해 연대하겠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며 ‘반국가세력’이 유엔사 해체를 주장한다고 재차 비판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유엔사 주요 직위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은 지금도 유엔사를 한반도 적화 통일의 최대 걸림돌로 여기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폴 러캐머라 사령관과 앤드루 해리슨 부사령관 등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한반도 유사시 유엔사는 별도의 안보리 결의 없이도 유엔사 회원국의 전력을 즉각적이며 자동적으로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것이 북한과 그들을 추종하는 반국가 세력들이 종전 선언과 연계해 유엔사 해체를 끊임없이 주장하고 있는 이유”라며 “그러나 현명한 우리 대한민국 국민들께서 이들의 가짜 평화 주장에 결코 속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이어 “우리는 북한이 스스로 핵을 포기하도록 압도적이고 강력한 힘에 의한 평화를 구현해야 한다”며 “상대방의 선의에 기대는 가짜 평화가 아닌, 강력한 힘만이 진정한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고 했다.
윤 대통령은 그간에도 전임 정부에서 추진한 종전 선언과 일각의 ‘유엔사 해체’ 주장을 비판하며 유엔사의 역할을 강조해왔다.
안석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