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8일 서울 구의역 스크린도어 사고와 관련, 박원순 서울시장을 향한 더불어민주당 내 ‘투톱’인 김종인 비상대책위 대표와 문재인 전 대표가 서로 다른 태도를 보여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종인 대표는 박 시장에게 훈수같은 당부를 하는 반면 문 전 대표는 딱히 박 시장을 옹호하고 나서지 않고 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김 대표는 문 전 대표의 경쟁자인 박 시장을 최대한 보호하자는 취지고, 문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당내 라이벌인 박 시장의 위기가 그리 나쁘지 않다고 보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김 대표는 지난 8일 구의역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와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 시장이 책임지고,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참석한 소속 의원들도 한목소리로 박 시장이 이번 사건의 수습부터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이르기까지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비판 수위를 조절했다. 사고 수습방안과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당내 유력 대선주자인 박 시장에 대한 보호 차원이란 의미가 읽힌다.
당 관계자는 “이번 사고를 기점으로 존재감이 약화하고 있는 박 시장 입장에서는 김 대표의 도움이 절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박 시장에게 우호적인 것과는 달리 문 전 대표는 조금 미지근한 반응이다. 최근 문 전 대표는 강남역 묻지마 살인 사건과 관련, 보좌진 없이 홀로 사건 현장을 방문해 추모했다. 하지만 구의역 사고에는 문 전 대표가 현장에 가지도 않았고 이렇다할 박 시장 옹호 발언도 내놓지 않았다.
여기엔 문 전 대표와 박 시장의 대권 라이벌 의식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문 전 대표 입장에서는 박 시장의 정치적 존재감이 아무래도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문 전 대표와 박 시장은 협력적 경쟁관계인데다 서로 우호적”이라며 “문 전 대표가 현역 의원도, 지도부도 아닌 상황에서 현안을 하나하나 다 챙길 수는 없는 노릇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문 전 대표가 구의역에 가지 못한 것도 그런 이유”라고만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김종인 대표는 박 시장에게 훈수같은 당부를 하는 반면 문 전 대표는 딱히 박 시장을 옹호하고 나서지 않고 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서는 김 대표는 문 전 대표의 경쟁자인 박 시장을 최대한 보호하자는 취지고, 문 전 대표는 상대적으로 당내 라이벌인 박 시장의 위기가 그리 나쁘지 않다고 보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실제 김 대표는 지난 8일 구의역 사고와 관련해 서울시와 정책간담회를 열었다. 김 대표는 이 자리에서 “박 시장이 책임지고, 이 문제에 대해서는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달라”고 당부했다.
참석한 소속 의원들도 한목소리로 박 시장이 이번 사건의 수습부터 근본적인 대책마련에 이르기까지 끝까지 책임져야 한다고 주장하면서도 비판 수위를 조절했다. 사고 수습방안과 후속 대책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였지만, 당내 유력 대선주자인 박 시장에 대한 보호 차원이란 의미가 읽힌다.
당 관계자는 “이번 사고를 기점으로 존재감이 약화하고 있는 박 시장 입장에서는 김 대표의 도움이 절실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가 박 시장에게 우호적인 것과는 달리 문 전 대표는 조금 미지근한 반응이다. 최근 문 전 대표는 강남역 묻지마 살인 사건과 관련, 보좌진 없이 홀로 사건 현장을 방문해 추모했다. 하지만 구의역 사고에는 문 전 대표가 현장에 가지도 않았고 이렇다할 박 시장 옹호 발언도 내놓지 않았다.
여기엔 문 전 대표와 박 시장의 대권 라이벌 의식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문 전 대표 입장에서는 박 시장의 정치적 존재감이 아무래도 부담이 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문 전 대표 측 관계자는 “문 전 대표와 박 시장은 협력적 경쟁관계인데다 서로 우호적”이라며 “문 전 대표가 현역 의원도, 지도부도 아닌 상황에서 현안을 하나하나 다 챙길 수는 없는 노릇 아니냐”라고 반문했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문 전 대표가 구의역에 가지 못한 것도 그런 이유”라고만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