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8일 ‘담판 의원총회’… 유승민 최대 기로
새누리당이 8일 유승민 원내대표의 거취 문제를 매듭짓기 위한 ‘담판 의원총회’를 개최한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지난달 25일 박근혜 대통령의 ‘작심 비판’ 발언 이후 사퇴 압박에 시달려온 유승민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7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새누리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새누리당은 8일 유 원내대표의 거취를 결정할 긴급 의원총회를 개최한다.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김명국 전문기자 daunso@seoul.co.kr
새누리당 의원들은 이날 하루 종일 친박(친박근혜)계와 비박계, 지역별, 선수별 회동을 갖고 유 원내대표 거취 문제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현재로선 의총에서 사퇴 권고 결의안이 채택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당·청 갈등과 비판 여론이라는 ‘이중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게 대체적인 당내 분위기다. 그동안 중립적인 입장을 취해온 비박계 핵심이자 당내 최대 계파인 김 대표 진영 역시 ‘사퇴 불가피론’으로 쏠리는 모양새다. 가능성은 낮지만 유 원내대표의 사퇴를 반대하는 비박계를 중심으로 의총 자체를 보이콧할 여지도 남아 있다.
유 원내대표는 이와 관련, “내일 의총에는 참석하지 않는다”면서 “어떤 결정이든 의총의 결정을 따를 계획”이라고 말했다.
사퇴 여부 못지않게 사퇴 시점도 관심거리다. 유 원내대표가 의총 직후 물러날 수도 있지만, 7월 임시국회 종료 때까지 ‘시한부 유임’ 의사를 드러낼 가능성도 있다. 유 원내대표가 의총 직후 던질 정치적 메시지에도 관심이 쏠린다. 입장 표명이 곧 ‘홀로서기 선언’이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유 원대대표가 물러나더라도 여권의 내홍이 진정 국면으로 접어들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후임 원내대표 선출을 놓고 계파 대결이 다시 격화될 가능성이 큰 데다, 총선을 겨냥한 계파 간 헤게모니 다툼도 첨예화될 가능성이 높다. 여권 내부의 정치적 불확실성은 더욱 확대될 수 있다는 얘기다.
장세훈 기자 shjang@seoul.co.kr
2015-07-0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