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완구 국무총리는 15일 성완종 전 경남기업 회장으로부터 3천만원을 받았다는 의혹과 관련해 “선출직 정치인이 그런 메모나 일방적 한쪽 주장만 갖고 거취 문제를 결정하지 못한다”며 야당은 물론 여당 일각에서 제기되는 사퇴 요구를 거부했다.
이완구 국무총리가 1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피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이완구 국무총리가 15일 국회 본회의장에서 열린 경제분야 대정부질문에서 피곤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연합뉴스
성 전 회장의 유류품 메모에 이 총리를 비롯한 여권 핵심 인사 8명의 이름 및 금품 액수가 적혀 있다는 정황이나 성 전 회장이 자살 직전 언론 인터뷰에서 지난 2013년 4월4일 직접 3천만원을 건넸다고 주장한 것만으로는 물러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 총리는 이날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에서 새정치민주연합 정성호 의원이 ‘검찰이 이 사건을 독립적으로 수사할 수 있으려면 거취를 표명하는 게 사는 길’이라고 지적하자 “(정 의원이) 혹시 어떤 사건에 연루됐을 때 정확하게 증거가 드러나지 않았는데 사퇴하겠느냐”고 반문했다.
이 총리는 또 “공직자가 근거 없는 말 때문에 이렇게 궁지에 몰리고 신뢰를 잃어버리는 것도 문제 아니겠느냐”며 “지금 누구의 말이 맞는지 모르는 거 아니냐”고 강변했다.
이 총리는 “이 분(성 전 회장)은 총리를 비롯해 우리나라 정치인하고 전화를 다 할 수 있고, 만날 수 있는 분”이라며 “억울하다면 당연히 밝힐 수 있는 능력과 역량이 있는 분인데, 왜 극단적인 선택을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총리는 “증거가 나오면 목숨을 내놓겠다”는 전날 자신의 발언을 두고 정 의원이 ‘총리가 목숨을 걸겠다는데 어떤 검사가 증거를 찾겠느냐’고 꼬집자 “법무부 장관이 개별 사건 수사에서 검찰을 지휘할 수 없다”며 “총리의 발언과 관계없이 독립적·중립적으로 수사한다고 생각한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