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지금까지 공개된 세 차례의 핵실험 이외에 지난 2010년에 소규모의 지하 핵실험을 했다는 주장이 중국 과학계에서 제기된 것과 관련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유관 및 국제기구와 협조하에 북한 핵활동 관련 동향 및 정보에 대해 예의주시 중으로, 일부 중국 학자들이 2010년 5월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서는 이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이는) 정부의 종합적 입장”이라며 “2010년 당시에도 정부는 북한에서의 지하 핵실험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지난달 20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글을 통해 북한이 2010년 5월12일 한 차례의 소규모 핵실험을 진행한 사실을 이 대학 지진·지구내부물리실험실 원롄싱(溫聯星)연구팀이 ‘새로운 미진(微震) 검측방법’을 활용해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4일 정례브리핑에서 “정부는 유관 및 국제기구와 협조하에 북한 핵활동 관련 동향 및 정보에 대해 예의주시 중으로, 일부 중국 학자들이 2010년 5월 북한이 핵실험을 실시했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서는 이는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노 대변인은 “(이는) 정부의 종합적 입장”이라며 “2010년 당시에도 정부는 북한에서의 지하 핵실험 가능성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학기술대학은 지난달 20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글을 통해 북한이 2010년 5월12일 한 차례의 소규모 핵실험을 진행한 사실을 이 대학 지진·지구내부물리실험실 원롄싱(溫聯星)연구팀이 ‘새로운 미진(微震) 검측방법’을 활용해 확인했다고 주장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