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국가정보원 댓글 사건 국정조사 특위 위원인 김 현 진선미 의원 거취문제를 놓고 고심에 빠져 있다.
민주당은 10일 새누리당 정문헌 이철우 의원이 전날 전격 사퇴하면서 두 의원의 동반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 일단 ‘물귀신 작전’이라고 거듭 일축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계속 이 문제를 물고 늘어질 경우 국정원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활동이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국조특위의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이날 국조 실시계획서 채택을 위해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도 두 의원에 대한 사퇴 불가 입장을 확인했다. 그 결과 여야 간사회동은 헛바퀴만 돌다가 끝나고 말았다.
당사자인 김 현 의원도 이날 CBS 라디오와 가진 인터뷰에서 “특위위원은 각 당에서 선정하는 것인 만큼 그것을 존중해서 진상규명을 하면 될 일”이라며 “새누리당이 주장하고 요구하면 민주당은 다 따라야 하는가. 그러면 저희가 거수기죠”라고 반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서도 “새누리당의 물귀신 작전이 너무 빨리 노출됐다”면서 “이런 일로 물러날 것이라면 이 싸움을 시작도 안 했다”며 결연한 의지를 강조했다.
민주당은 두 의원에 대한 새누리당의 사퇴 압박이 내달 15일까지가 기한인 국정조사를 파행시키거나 지연하기 위한 ‘꼼수’라고 보고 있다.
한 특위 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아예 파행시키거나 국정조사 실시계획서 채택을 미뤄 휴가 피크 시즌에 국정조사를 시작하게 하려는 셈법도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서는 국정조사라는 대여투쟁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두 의원의 특위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핵심당직을 거친 한 중진의원은 “이런 상황이라면 약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국정조사는 무조건 해야 하고, 빙산의 일각만 드러난다고 하더라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당장 두 의원이 새누리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사퇴하더라도 향후 국조가 원만히 진행되리라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데 민주당 지도부의 고민이 있다.
다른 특위 위원은 “김현 진선미 의원이 사퇴하더라도 새누리당이 다른 의원을 추가로 걸고넘어질 수 있는데다, 국정조사 범위와 국정원 기관보고 공개 문제 등을 놓고 시비를 걸어 국정조사가 진척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 안팎에선 여당으로부터 국조의 원만한 진행을 확약받는 것을 전제로 두 의원이 ‘자진사퇴’라는 결단을 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은 10일 새누리당 정문헌 이철우 의원이 전날 전격 사퇴하면서 두 의원의 동반사퇴를 요구한 데 대해 일단 ‘물귀신 작전’이라고 거듭 일축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계속 이 문제를 물고 늘어질 경우 국정원 사건에 대한 국정조사 활동이 교착상태에 빠질 수 있다는 점에서 돌파구를 찾기 위해 부심하고 있다.
국조특위의 민주당 간사인 정청래 의원은 이날 국조 실시계획서 채택을 위해 새누리당 간사인 권성동 의원을 만난 자리에서도 두 의원에 대한 사퇴 불가 입장을 확인했다. 그 결과 여야 간사회동은 헛바퀴만 돌다가 끝나고 말았다.
당사자인 김 현 의원도 이날 CBS 라디오와 가진 인터뷰에서 “특위위원은 각 당에서 선정하는 것인 만큼 그것을 존중해서 진상규명을 하면 될 일”이라며 “새누리당이 주장하고 요구하면 민주당은 다 따라야 하는가. 그러면 저희가 거수기죠”라고 반발했다.
그는 페이스북에서도 “새누리당의 물귀신 작전이 너무 빨리 노출됐다”면서 “이런 일로 물러날 것이라면 이 싸움을 시작도 안 했다”며 결연한 의지를 강조했다.
민주당은 두 의원에 대한 새누리당의 사퇴 압박이 내달 15일까지가 기한인 국정조사를 파행시키거나 지연하기 위한 ‘꼼수’라고 보고 있다.
한 특위 위원은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새누리당이 국정조사를 아예 파행시키거나 국정조사 실시계획서 채택을 미뤄 휴가 피크 시즌에 국정조사를 시작하게 하려는 셈법도 있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당 일각에서는 국정조사라는 대여투쟁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서라도 두 의원의 특위 사퇴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핵심당직을 거친 한 중진의원은 “이런 상황이라면 약간의 희생이 있더라도 국정조사는 무조건 해야 하고, 빙산의 일각만 드러난다고 하더라도 실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문제는 당장 두 의원이 새누리당의 요구를 받아들여 사퇴하더라도 향후 국조가 원만히 진행되리라는 것을 보장할 수 없다는 데 민주당 지도부의 고민이 있다.
다른 특위 위원은 “김현 진선미 의원이 사퇴하더라도 새누리당이 다른 의원을 추가로 걸고넘어질 수 있는데다, 국정조사 범위와 국정원 기관보고 공개 문제 등을 놓고 시비를 걸어 국정조사가 진척되기 어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당 안팎에선 여당으로부터 국조의 원만한 진행을 확약받는 것을 전제로 두 의원이 ‘자진사퇴’라는 결단을 택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관측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