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심원제로 결정 …경선 판세 변화줄지 주목

연합뉴스
민주통합당 5·4 전당대회 당 대표 경선 강기정ㆍ이용섭 후보가 25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단일화 시기ㆍ방식 합의 발표 기자회견을 한 후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단일화 성사시 비주류의 김한길 후보와 범주류 단일후보간 일대일 대결구도가 이뤄지게 돼 범주류 단일화의 파괴력 여부가 이번 전대의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강, 이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오는 28일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대의원 배심원대회를 열어 단일 후보를 확정키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여론조사기관이 표본추출한 300∼500명의 대의원이 배심원단으로 참석한 가운데 두 후보의 정견발표와 토론회를 거쳐 배심원 투표로 현장에서 단일 후보를 가리는 방식이다.
두 후보는 모두 광주 출신이어서 지역 기반이 겹친다.
두 후보는 기자회견에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진 민주당을 재건하기 위해 당을 대대적으로 혁신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통합적 리더십을 갖춘 새 인물이 당 대표가 돼야 한다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단일화가 성사될 경우, 자체 후보를 배출하지 못한 친노(친노무현) 세력이 단일 후보를 중심으로 조직적 세결집에 나설 것으로 보여 ‘김한길 대세론’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그러나 당내에 범주류에 대한 대선패배 책임 여론이 적지 않아 파괴력은 미지수라는 관측도 나온다.
단일화와 관련, 비주류측을 중심으로 ‘명분없는 담합’ 논란도 일고 있다.
김 후보측 관계자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민주당이 혁신해야 할 때, 명분없는 단일화에 몰두하는데 대해 당원과 국민들이 어떻게 볼지 걱정”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강 후보는 기자회견 후 기자들과 만나 “생각과 지지 기반이 같은 후보들이 공통의 목표를 추구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로 이를 비판하는 것이야말로 흠집내기”라고 반발했다.
이 후보도 “담합이란 사사로운 이익을 위해 비밀리에 협상하는 것”이라며 “시대의 요구와 당원의 뜻을 따르는게 담합이냐”고 반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