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인 행복특위 위원장 문답
새누리당의 대선 정책을 이끌 국민행복특위 위원장을 맡은 김종인(72)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27일 “경제 민주화가 오는 12월 대선에서 최대 쟁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김종인 국민행복특위 위원장
김 신임 위원장은 이날 임명 직후 서울신문과의 전화 통화에서 “압축성장 이후 우리나라의 모순을 해결하려는 노력이 없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나는) 적당히 하는 사람이 아니다. 약속은 반드시 지킬 것”이라고 강조했다.
1987년 개헌 당시 헌법 119조 경제 민주화 조항을 입안한 김 위원장은 지난해 12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출범 때 비상대책위원으로 당에 ‘깜짝’ 합류했다. 이어 박근혜 경선 캠프에서 공동 선거대책위원장을 지냈으며, 이번에는 국민행복특위를 맡아 박 후보의 대선 공약 입안까지 주도하게 됐다.
김 위원장은 “경제 민주화 조항이 (헌법에) 들어간 지 25년이 지난 최근에야 언급되는 것은 그 자체가 시대적 요구이자 시대 정신”이라면서 “박 후보의 입장도 기본적으로 경제 민주화를 이룩해야 우리 사회가 효율과 안정을 유지하며 계속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렇듯 박 후보가 경제 민주화의 ‘아이콘’에 가까운 김 위원장을 중용한 것은 경제 민주화를 화두로 야권 후보와 정책 경쟁을 펼치겠다는 의도를 내보인 것으로 해석된다. 때문에 ‘재벌 개혁’ 법안 등을 잇따라 내놓고 있는 당의 경제민주화실천모임 등과 어떤 관계를 설정할지도 주목된다. 김 위원장은 경제 민주화와 관련한 당내 논란에 대해 “경제 민주화에 대해 의견이 다를 수 없다.”, 경제민주화실천모임 활동에 대해서는 “일리가 있다.”고 각각 평가했다.
●“安 확신 없인 대선 안나올 것”
김 위원장은 박 후보에 대해 “현재 대통령 후보감 중에 경제와 사회를 이렇게 복합적으로 생각하는 후보감이 없다.”면서 “야당 후보가 정해지는 9월 23일(또는 16일)까지 국민들에게 최대한 믿음을 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이어 정수장학회 문제 등 박 후보를 둘러싼 논란과 관련, “박 후보가 알아서 스스로 다 처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반면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의 대선 출마 여부와 관련해서는 “너무 생각을 많이 하고 여러 이해득실을 고려하는 사람이라는 게 확인됐다.”면서 “스스로 확신이 없으면 언뜻 대선에 나서지 않을 게 분명하다.”고 부정적으로 내다봤다.
장세훈기자 shjang@seoul.co.kr
2012-08-28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