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 솔직히 맞닥뜨리기 두렵다”
오윤정(24)씨는 통일 전문 강사다. 통일교육원에서 6개월간 교육을 받은 뒤 초·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북한과 통일문제에 대해 강의를 하고 있다. 요즘 10대들은 통일에 대해 관심이 있을까. 오씨를 통해 10~20대들이 통일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들어봤다.
오윤정 통일전문강사
-북한에 대한 상식을 OX퀴즈로 풀거나 북한문화재를 소개하는 식이다. 통일을 꼭 해야 한다고 강조하지는 않는다. 그러나 자연스럽게 “북한과 우리는 원래 하나였고, 다시 통일해야겠구나.”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아이들은 탈북자 얘기나 또래 북한 친구들이 어떻게 지내는지 궁금해한다. 이런 교육을 통해 비로소 북한에 대한 인식이 생기는 것 같다.
→교육 전후에 달라진 생각이 있다면.
-처음 이 일을 시작했을 때 아버지가 걱정을 하셨다. 당신이 어릴 때 북한사람들은 다 늑대라고, 안보 위주의 교육을 받았던 것이 싫었기 때문에 애들한테까지 잘못된 선입견을 심어줄 것을 우려하셨다. 나도 학교에서 양극화된 주장을 배운 것 같다. 하나의 문제인데, 왜 이렇게 생각이 다를까 고민을 많이 했다. 이미 “나쁘다.”고 정해놓고 생각하다 보니 극단적으로 갈리는 것 같다. 그래서 아이들한테는 그렇게 하지 않으려고 노력한다.
→강의에서 가장 강조하는 것은.
-북한 주민들과 북한 정권을 나눠서 생각하도록 유도한다. 북한의 친숙함을 강조하면서 천안함·연평도 사건을 얘기하면 나도 혼란스러웠던 게 사실이다. 질문 받을 시간도 부족하고 일회성으로 끝나는 게 좀 아쉽다.
→중·고등학생의 반응은 좀 다를 것 같다.
-절반 이상은 잔다. 처음엔 정규수업이 아니니까 관심을 갖다가도 통일수업이라고 하면 아예 관심을 끊어버린다. 초등학생이 습자지처럼 있는 그대로 흡수하는 것과 정반대다. 반발심조차 없을 정도로 정말 심하다. 한두 명 정도는 진지하게 듣는데 그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열심히 한다.
→10대들은 북한을 어떻게 생각하나.
-애초 관심이 없었고 정책도 전혀 모르는데, 어떤 생각을 갖는 것 자체가 어렵다고 한다. 주장이 많아서 분별하기가 어려워 관심을 더 안 두게 된다는 것이다.
→천안함·연평도 사건에 대해서는.
-일단 북한에 대해 욕을 한다. 그러나 왜 일어났는지, 무슨 의도인지에 대해서는 애초에 깊이 들어가려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 사건을 통해 북한에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도록 좋은 방향으로 이끄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개인적으로 통일을 원하나.
-통일은 내가 죽기 직전에 이뤄졌으면 좋겠다. 맞닥뜨리기 두렵다. 알면 알수록 큰 혼란이 있을 것 같고 부담도 클 것 같다. 부담을 최소화한다는 방안은 이론적으로나 가능한 얘기라고 생각한다. 독일처럼 언제 어떻게 통일이 될지 모르는 것 아닌가. 우리가 생각한 시나리오대로 될 것 같지 않다. 그 전까지는 준비를 열심히 했으면 좋겠다. 통일세 하나만 가지고도 이렇게 난리이지 않나. 국민은 전혀 받아들일 준비가 돼 있지 않은데 국론통합이 우선인 것 같다. 60년쯤 후에나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
→이상적인 통일은.
-한 교실에 남북한 학생들이 반반씩 있는 그림을 그려본다. 거부감이 없는 자연스러운 통일을 원한다. 시간이 오래 걸리더라도 물리적인 통일은 천천히 했으면 좋겠다. 내가 만약에 북한 사람이라면 가난한 독재국가의 국민으로 인식되는 것은 싫을 것 같다. 경제력도 갖추고 자존심도 회복한 다음 통일이 됐으면 좋겠다. 통일 후 경제발전도 좋지만 그보다 정서가 더 중요하지 않나. 통일이 돼서 남북한 사람들이 행복했으면 좋겠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1-05-09 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