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원자력환경공단은 잇단 지진에 따른 방폐장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내진 성능 향상에 초점을 맞춘 종합대책을 마련해 본격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원자력환경공단 임직원들이 재난상황실에서 방폐장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 제공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원자력환경공단 임직원들이 재난상황실에서 방폐장 안전을 점검하고 있다. 원자력환경공단 제공
공단은 지난해 폐기물 처분고와 지하 점검로를 재설계해 내진 성능을 0.2g(규모 6.5)에서 0.3g(규모 7.0)로 상향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2단계 표층 처분시설 준공 시기는 2020년으로 1년 연장됐다.
이어 이번 내진 종합대책을 통해 2단계 표층 처분시설은 물론 현재 운영 중인 1단계 동굴 처분시설의 지진 대응 체계를 강화하는 등 방폐장 운영 전반에 대한 개선 작업이 이뤄진다.
공단은 동굴 처분시설이 지진으로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비해 배수계통 및 전원공급계통을 추가 설치하기로 했다. 또 지진 측정의 정밀도를 끌어올리기 위해 기존 4대의 지진가속도계 외에 1대를 더 배치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지진 원격 감시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지진 관측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기존에 5분이 소요됐던 비상 대응 시간을 없앨 방침이다.
공단 관계자는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도록 내진 종합대책을 착실히 이행해 재난에 더욱 안전한 방폐장으로 거듭나겠다”고 강조했다.
장형우 기자 zangzak@seoul.co.kr
2017-12-08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부가 추가경정예산(추경)을 통해 총 13조원 규모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하자 이를 둘러싸고 소셜미디어(SNS) 등에서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경기에 활기가 돌 것을 기대하는 의견이 있는 반면 SNS와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소비쿠폰 거부운동’을 주장하는 이미지가 확산되기도 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