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이 지난 21일 지병인 간암으로 별세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졌다.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
고 김영한 전 청와대 민정수석
김 전 수석이 몸담았던 법무법인 바른은 김 전 수석이 21일 오전 3시 서울 아산병원에서 지병인 간암으로 별세했다고 24일 밝혔다. 향년 59세.
경북 의성 출신으로 경북고와 연세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김 전 수석은 사법시험 24회(사법연수원 14기)에 합격해 검사로 임관한 뒤 서울지검 공안1부장과 대검 공안 1·3과장, 일선 검찰청의 공안부장검사를 두루 맡아 전형적인 ‘공안통’으로 꼽혔다. 2012년 7월 대검 강력부장을 끝으로 검찰을 떠나 바른에서 변호사로 활동하던 그는 2014년 6월 청와대 민정수석비서관으로 임명됐다.
이듬해 초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과 관련해 소집된 국회 운영위의 출석을 거부하며 사의를 표명해 ‘항명 파동’의 당사자가 되기도 했다. 그의 후임이 현 우병우 민정수석이다.
김 전 수석은 간암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가족과 친지에게도 숨기고 일을 하다 임종을 앞두고서야 알린 것으로 알려졌다. 바른 측은 ”김 전 수석이 ‘아무에게도 알리지 말고 조용히 장례를 치러 달라’고 유언해 가족들이 고인의 뜻에 따라 가족장으로 장례를 치렀다“고 전했다.
유족으로는 변지은(54) 여사, 2녀가 있다.
조용철 기자 cyc0305@seoul.co.kr
2016-08-25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