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3년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역사적인 평화협상 타결을 이끌어 낸 ‘오슬로 협정’의 막후 주역인 론 푼다크가 세상을 떠났다.
이미지 확대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12일(현지시간) AP통신 등에 따르면 오랜 기간 암과 싸우던 이스라엘의 저명한 학자이자 평화 운동가인 푼다크가 11일 59세를 일기로 숨을 거뒀다. 그는 1993년 오슬로 협정이 이뤄지기 전 팔레스타인 지도부와 협상을 시작하기 위한 비밀채널을 조직해 사전 협상을 주도한 이스라엘 측 학자로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그 결과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지켜보는 가운데 이츠하크 라빈 당시 이스라엘 총리와 야세르 아라파트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 의장은 오슬로 회담에서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상은 1993년 9월 13일 미국 백악관에서 라빈 전 총리와 아라파트 전 의장의 협상 타결도 이끌었다. 결과적으로 지켜지지 않아 협정 뒤 약 20년 동안 유혈 사태는 계속됐지만 이 협정으로 양측은 이스라엘 안보를 약속하고 팔레스타인 측에선 자치 실현의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푼다크는 2011년까지 10여년간 평화 연구를 위한 ‘페레스 센터’ 소장을 맡았고 그간 교착 상태에 빠진 양측의 평화 이행 과정에서도 왕성한 활동을 펼쳤다. 시몬 페레스 이스라엘 대통령은 “푼다크는 마지막으로 숨을 쉴 때까지 평화를 위해 싸웠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2014-04-14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달 한 공식석상에서 로스쿨 제도와 관련해 ”법조인 양성 루트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과거제가 아니고 음서제가 되는 것 아니냐는 걱정을 했다“고 말했습니다. 실질적으로 사법고시 부활에 공감한다는 의견을 낸 것인데요. 2017년도에 폐지된 사법고시의 부활에 대해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