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틋한 러브스토리 유명... 오바마 대통령도 감동
1950년 한국전에 참전했다가 숨진 조지프 갠트 일등상사를 그리워하며 63년간 수절한 부인 클라라 갠트(97) 여사가 결국 남편 곁으로 떠났다.재미 한국전 참전 21개국 지원협의회의 스캇 서 회장은 24일(현지시간)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클라라 여사가 지난 18일 로스앤젤레스(LA) 남부 잉글우드 시 잉글우드 양로병원에서 타계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클라라 여사는 26일 남편 캔트 전 일등상사의 유해가 묻힌 잉글우드에서 안장될 것”이라며 “장례식도 조촐하게 치러질 것”이라고 했다. 클라라 여사의 장례식에는 텍사스에 사는 조카 1명이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클라라 여사는 지난 5월 고령으로 잉글우드 양로병원에 입원했으나, 열악한 병원 환경에서 병수발을 해줄 간병인도 없이 홀로 지내왔다.
클라라 여사는 한국전에서 전사한 남편을 63년간 기다리며 수절한 애틋한 러브 스토리로 유명하다. 버락 오바마 대통령은 지난해 5월26일 ‘메모리얼 데이’에 직접 클라라 여사의 사연을 소개하기도 했다.
갠트 전 일등상사는 1942년 육군에 입대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남태평양 전선에서 큰 공을 세운 인물이다.
그는 1946년 텍사스에서 LA로 오는 기차 안에서 클라라를 처음 만났다. 이들은 2년 뒤 결혼했지만 달콤한 신혼의 생활은 1950년 한국전이 발발하면서 깨졌다.
한국을 돕기 위해 나선 갠트 전 일등상사는 1950년 12월 군우리 전투에서 북한군에 포로로 잡혔고 이듬해 포로수용소에서 사망했다.
그는 수용소에서 사망하기 전 아내에게 편지를 보내 “재혼해서 행복하게 살라”고 했지만, 클라라 여사는 63년간 남편을 기다리며 수절했다.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합동조사본부는 2013년 갠트 전 일등상사의 유해를 북한에서 최종 확인했다.
클라라 여사는 그해 12월 성조기에 싸인 남편의 유해가 LA국제공항에 도착하자 “남편이 돌아와 기쁘다. 이제 편히 눈을 감게 됐다”면서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그녀는 늘 “나는 언제나 남편만을 사랑했고, 죽을 때까지도 그 사람의 부인”이라고 말해왔다고 지인들은 전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