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극 ‘헤다 가블러’ 주연 맡아 13년만에 무대 복귀 이혜영
명동예술극장 관계자들은 올해 첫 기획공연인 연극 ‘헤다 가블러’를 준비하면서 오직 한 여배우만을 머릿속에 그렸다. 배우 이혜영, 13년째 연극 무대에서 모습을 보이지 않았던 그녀를 무대 위에 올리고 싶었다. 그래서 ‘헤다 가블러’ 작품 대본을 들고 그녀에게 3번이나 출연을 제안했다. “우리는 이혜영씨를 꼭 무대에 서게 하고 싶습니다. 그러려면 어떤 작품이 좋을까 생각해 보니 헤다 가블러가 딱이더군요. 이혜영씨가 이 작품 안 하겠다고 하면 명동예술극장도 이 작품을 무대에 올리지 않을 생각입니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다음 달 2일 서울 명동예술극장 무대에 오르는 연극 ‘헤다 가블러’에서 주인공 헤다 가블러 역을 맡은 배우 이혜영이 검은 드레스를 입고 무심한 표정을 지은 채 고혹적인 자태를 뽐내고 있다.
명동예술극장 제공
명동예술극장 제공
이 한마디에 배우 이혜영의 마음이 움직였다. 13년간 연극 무대를 떠나 있었지만, 용기를 내야겠다 마음 먹었다. 이유는 간단했다. ‘무대가 나를 부른다.’는 생각이 뇌리를 스쳤기 때문이다.
배우 이혜영, 젊은 세대들에게는 드라마 ‘미안하다 사랑한다’의 오드리, ‘꽃보다 남자’의 구준표 엄마 등 카리스마 넘치는 인물로, 기성 세대들에게는 80년대 파격과 개성 넘치는 여배우의 전형으로 기억되는 배우다. TV와 영화 등에서 왕성한 활동을 했지만, 사실 그녀는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데뷔해 굵직굵직한 연극 작품에 다수 출연한 연극 배우이기도 하다. 그녀가 초심으로 돌아와 다시 무대에 선다. 연극 헤다 가블러의 주인공, 이혜영을 지난 23일 서울 대학로의 연습실에서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명동이나 강남 등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서울 도심에서 종종 볼 수 있는 ‘헤다 가블러’의 포스터에는 배우 이혜영만이 존재한다. 작품에 대한 설명도 없다. 그냥 배우 이혜영의 모습만이 오롯이 담겨 있다. 2009년 극장 개관 이후 연극 포스터에 주인공 배우 얼굴 하나만을 담은 건 헤다 가블러가 처음이라고. 그만큼 포스터 속 이혜영의 카리스마는 강한 여성 ‘헤다 가블러’를 대변할 만큼 강렬하다. 하지만 그녀는 포스터를 처음 보고 당황했다. “사실, 13년 만에 무대에 서면서, 한국에서 초연되는 ‘헤다 가블러’ 포스터를 보면서 사람들이 저 사람이 누굴까? 하는 느낌이 들었으면 했어요. 그런데 나중에 포스터를 봤더니 클로즈업을 해서 늙은 게 너무 드러나더라고요. 깜짝 놀랐죠. 하하. 저도 여자라서 그런지 신경이 쓰이더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매우 만족해요. 헤다 가블러의 예민함과 강함이 잘 묻어난 거 같아서요.”
배우 이혜영은 자신만의 특유한 말투를 지녔다. 그래서 평소에도 연기하듯 말한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고. “어릴 때부터 ‘넌 말을 왜 그렇게 하니?’라는 말을 자주 들었어요. 애들이 놀리기도 했죠. 어른들은 ‘어머, 쟤 말하는 것 좀 봐’라고 이야기 하기도 했고요. 저, 배우 잘한 거 같아요. 배우니까 개성 있다는 말을 듣지, 배우가 아니었다면 오해도 많이 받고 고생을 많이 했을 것 같아요.”
어찌 보면 그녀가 배우의 길을 걷게 된 건 아주 오래전부터 예정된 수순이었을지도 모른다. 한국 영화계의 거장 고(故) 이만희 감독의 딸인 그녀는 어린 시절부터 종로 2가 일대의 극장을 집처럼, 학교처럼 드나들며 영화를 보고 자랐다. 이만희 감독은 영화 ‘만추’의 원작자이자 ‘삼포가는길’ 등 15년간 50여편의 영화를 찍으며 한국 영화계에 한 획을 그은 인물이다. “그 아버지에 그 딸이겠죠? 하하. 사실, 어린시절 아버지가 돌아가셔서 추억이 많지는 않아요. 하지만 아버지의 향기와 진한 사랑 등은 너무 강렬했죠. 처음 배우가 된다고 했을 때 이만희의 딸이라는 이유로 조명도 많이 받았던 게 사실이고요.”
그녀가 배우의 길을 걸으려고 하자, 아버지의 지인들은 하나같이 말렸단다. 당시 그녀에게 ‘한국에서 여배우가 된다는 건 진흙 바닥에 자신을 던지는 것과 똑같다.’는 말을 많이들 했다는 것. “뭔가 천박하게 보는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죠. 당시만 해도 여배우로 산다는 건 참 어려운 일이었던 거 같아요. 그래서 뭔가 지적인 작업이 없을까 하다가 연극 무대는 왠지 지적이라고 생각했어요. 하하. 그래서 무대 연기에 관심을 갖다가 극단 현대에 들어갔고, 뮤지컬 사운드 오브 뮤직의 초연 오디션을 보고 윤복희 선생님의 언더 스터디(대역 배우)로 합격했죠.”
그렇게 그녀는 배우의 길을 걷게 됐다. 이후 1985년부터 4년간 KBS 1TV의 뮤직박스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국내 최초의 비디오 자키 활동을 했고, SBS 개국 당시 여배우로서는 특이하게 메인 뉴스 여자 앵커를 맡아 10개월간 뉴스 진행을 하기도 했다. “이혜영만의 개성이 있다고 생각해요. 그건 제가 연기를 하면서 절대 변치 않고 일관되게 지켜 왔죠. 나이가 들면서 드라마에서 엄마 역할을 자주 해도, 제가 한 엄마 역할은 남달랐어요. 자기를 감추는 그냥 엄마가 아닌, 자기 자신을 강조하는 여성들이 많았죠. ‘헤다 가블러’도 그래요. 아마 많은 여배우들이 탐낼 역할이 될 거예요.”
‘헤다 가블러’는 다음 달 2일에서 28일까지 서울 명동예술극장에서 공연된다. 2만~5만원. 1644-2003.
김정은기자 kimje@seoul.co.kr
2012-04-27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